(→문자) |
(→한글 표기법) |
||
129번째 줄: | 129번째 줄: | ||
현재({{자소크력}}) [[은 장성연맹]]의 공용 문자는 [[재민]]이다. 본디 [[훔웨화카튼]]은 복잡한 표어문자 체계를 사용했다. 하지만, 사상 최초로 접한 [[티카]] 외부의 세력인 [[아미르비아 탐험대]]로부터 표음문자 [[재민]]이 새롭게 전래되면서 기존의 문자는 위상을 잃어버렸다. 표기법 역시 [[자소크]]식에서 많은 부분을 본떠 제정하기에 이르렀으며, 그 결과 화칸어와는 약간의 괴리가 생겨 1:1로 대응하진 않게 되었다. | 현재({{자소크력}}) [[은 장성연맹]]의 공용 문자는 [[재민]]이다. 본디 [[훔웨화카튼]]은 복잡한 표어문자 체계를 사용했다. 하지만, 사상 최초로 접한 [[티카]] 외부의 세력인 [[아미르비아 탐험대]]로부터 표음문자 [[재민]]이 새롭게 전래되면서 기존의 문자는 위상을 잃어버렸다. 표기법 역시 [[자소크]]식에서 많은 부분을 본떠 제정하기에 이르렀으며, 그 결과 화칸어와는 약간의 괴리가 생겨 1:1로 대응하진 않게 되었다. | ||
== 한글 표기법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margin: auto; text-align: center;" | |||
|- | |||
! style="width: 10%;" | | |||
! style="width: 10%;" | 자모 | |||
! style="width: 20%;" | 모음 앞 | |||
! style="width: 20%;" | 자음 앞,<br>어말 | |||
! style="width: 40%;" | 보기 | |||
|- | |||
! rowspan="21" | 자음 | |||
| b || ㅂ || 브 || | |||
|- | |||
| c || ㅊ || 츠 || | |||
|- | |||
| d || ㄷ || 드 || | |||
|- | |||
| f || 호, 후 || 후 || | |||
|- | |||
| g || ㄱ || 그 || | |||
|- | |||
| h || colspan="2" | 으 || | |||
|- | |||
| j || ㅈ || 즈 || | |||
|- | |||
| k || ㅋ || 크 || | |||
|- | |||
| l || ㄹ, ㄹㄹ,<br>리, ㄹ리 || ㄹ || | |||
|- | |||
| m || colspan="2" | ㅁ || | |||
|- | |||
| n || ㄴ, 니 || ㄴ, ㅇ || | |||
|- | |||
| p || ㅍ || 프 || | |||
|- | |||
| q || 히, 시 || 히 || | |||
|- | |||
| r || ㄹ || 르 || | |||
|- | |||
| s || ㅅ || 스 || | |||
|- | |||
| t || ㅌ || 트 || | |||
|- | |||
| v || 오, 우 || 우 || | |||
|- | |||
| w || 오, 우 || 우 || | |||
|- | |||
| x || ㅎ || 흐 || | |||
|- | |||
| y || colspan="2" | 이 || | |||
|- | |||
| z || ㅆ || 쓰 || | |||
|- | |||
! rowspan="5" | 모음 | |||
| a || colspan="2" | 아 || | |||
|- | |||
| e || colspan="2" | 에 || | |||
|- | |||
| i || colspan="2" | 이 || | |||
|- | |||
| o || colspan="2" | 오 || | |||
|- | |||
| u || colspan="2" | 우 || | |||
|- | |||
|} | |||
==문법== | ==문법== |
2024년 3월 9일 (토) 20:02 판
+ | ||||
---|---|---|---|---|
국가체제 | 장성맹주 · 혼두이트 · 은 나두히리닐드 | |||
문화 | 훔웨화카튼 · 화칸어 · 재민 · 거신신앙 | |||
역사 | 티카 · 가시발톱 섬 · 큰주머니 섬 · 목토인 · 목토어 | |||
남극해 무력시위 · 티펠라트리아 국가평의회 |
사용 국가 | 은 장성연맹 |
---|---|
사용 지역 | 티카 전역 |
사용 민족 | 훔웨화카튼 |
언어 인구 | 651,673명(4700년) |
어순 | OVS |
유형 | 포합어 |
언어 계통 | 은어족 화잘루미그어파 북화잘루미그어군 화칸어 |
초기형태 | 원시 은조어 |
언어코드 | NN-FJ |
사전 | 화칸어_사전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은 장성연맹 |
표기문자 | 재민 |
개요
화칸어(화칸어: [3])는 은 장성연맹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은 장성연맹의 국어이자 공용어이고, 티카 군도 훔웨화카튼들의 통용어이다. 은어족에 속하는 포합어이며, 기본 어순은 OVS이다. 은어족 방언연속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여 공용어가 될 수 있었다.
명칭
명칭 | |
---|---|
화칸어 |
[3] |
무르무르어 |
Phácanthpihca |
시메타시스어 |
Fakaanspika |
스타하어 |
Phakan, Eonbudzu |
이렘나어 |
i'Leni k'Bachane[4] |
자소크어 |
Fakaanspika |
퍈프소븜 |
fjan faka:n |
헤이어 |
Fakran, Vnbuju |
한국어 |
화칸어 |
영어 |
Fakaan language |
안드로어 |
ghkzksdj |
메다어 |
m/f0fsjt |
역사
음운
순치 |
치 |
경구개 |
연구개 |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
비 |
ɱ̊ ⟨m⟩ |
ɱ ⟨m⟩ |
n̪̊ ⟨n⟩ |
n̪ ⟨n⟩ |
ɲ̊ ⟨n⟩ |
ɲ ⟨n⟩ |
ŋ̊ ⟨n⟩ |
ŋ ⟨n⟩ |
파 열 |
p̪ ⟨p⟩ |
b̪ ⟨b⟩ |
t̪ ⟨t⟩ |
d̪ ⟨d⟩ |
c ⟨c⟩ |
ɟ ⟨j⟩ |
k ⟨k⟩ |
ɡ ⟨g⟩ |
마 찰 |
f ⟨f⟩ |
v ⟨v⟩ |
θ ⟨s⟩ |
ð ⟨z⟩ |
ç ⟨q⟩ |
ʝ ⟨y⟩ |
x ⟨x⟩ |
ɣ ⟨h⟩ |
접 근 |
ʋ ⟨w⟩ |
ð̞ ⟨r⟩ |
j ⟨y⟩ |
ɰ ⟨h⟩ | ||||
설측 접 근 |
l̪ ⟨l⟩ |
ʎ ⟨l⟩ |
ʟ ⟨l⟩ | |||||
치경연구개 | ||||||||
설측 접 근 |
ɫ ⟨l⟩ |
|
전설 |
중설 |
후설 | |||
---|---|---|---|---|---|---|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고 |
i ⟨i⟩ |
u ⟨u⟩ | ||||
중 |
e̞ ⟨e⟩ |
o̞ ⟨o⟩ | ||||
저 |
ä ⟨a⟩ |
문자
자세한 내용은 재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현재(5758년 4월 8일[1]) 은 장성연맹의 공용 문자는 재민이다. 본디 훔웨화카튼은 복잡한 표어문자 체계를 사용했다. 하지만, 사상 최초로 접한 티카 외부의 세력인 아미르비아 탐험대로부터 표음문자 재민이 새롭게 전래되면서 기존의 문자는 위상을 잃어버렸다. 표기법 역시 자소크식에서 많은 부분을 본떠 제정하기에 이르렀으며, 그 결과 화칸어와는 약간의 괴리가 생겨 1:1로 대응하진 않게 되었다.
한글 표기법
자모 | 모음 앞 | 자음 앞, 어말 |
보기 | |
---|---|---|---|---|
자음 | b | ㅂ | 브 | |
c | ㅊ | 츠 | ||
d | ㄷ | 드 | ||
f | 호, 후 | 후 | ||
g | ㄱ | 그 | ||
h | 으 | |||
j | ㅈ | 즈 | ||
k | ㅋ | 크 | ||
l | ㄹ, ㄹㄹ, 리, ㄹ리 |
ㄹ | ||
m | ㅁ | |||
n | ㄴ, 니 | ㄴ, ㅇ | ||
p | ㅍ | 프 | ||
q | 히, 시 | 히 | ||
r | ㄹ | 르 | ||
s | ㅅ | 스 | ||
t | ㅌ | 트 | ||
v | 오, 우 | 우 | ||
w | 오, 우 | 우 | ||
x | ㅎ | 흐 | ||
y | 이 | |||
z | ㅆ | 쓰 | ||
모음 | a | 아 | ||
e | 에 | |||
i | 이 | |||
o | 오 | |||
u | 우 |
문법
음성 | 중성 | 양성 | |
---|---|---|---|
곡용 | [5] 산- |
[6] 삶, 사람 |
[7] 살- |
활용 | [8] 살았다 |
[9] 살다, 산다 |
[10] 살 것이다 |
회화
예문
세계인권선언
첫째 |
---|
. 온 숨이 낳일 때부터 놓이고, 허리와 몫이 같다. 숨이 하늘이 굵은 머리와 마음 주었고, . 핏줄 사랑으로 손쓸 것이다. |
Owewesankag |
---|
Funugunkusidakaxakalomfitrohaanutsonhod. Lofijambakaramfanarnamwafamuskdaka mutunsanhatlonhifunulimvanut. |
오웨웨상카그 |
---|
후누궁구시다카하칼롬휘트로으아아누초느오드. 롬휘잠바카람화나레쿠홤무스크다카 무툰사느아틀로늬후눌림와눗. |
욕심 많은 광부 이야기
뚫린 턱의 돌장이의 이야기 |
---|
옛날 한 돌장이가 살았다. |
어느 날 돌장이가 그가 캔 구리를 모에 넣었고 잤다. |
구리 구울 잠 깬 돌장이는 쌓음 열었고 구리가 흰쇠로 바뀌었음을 보았다. |
. 이제 휘파람 돌장이는 한아름 흰쇠를 캤고 쌓음에 넣었다. |
온날 그 온 흰쇠는 노란쇠로 바뀌 있었고 돌장이는 노란쇠를 넣음 더 좋음 날 셌고 하루를 참았다. |
온날 아침 온 노란쇠는 흰흰쇠로 바뀌 있었고 돌장이는 죽었다. |
Elirodldankifonheronjogomfoni |
---|
Funkufakaspendeldakifonhesankag. |
Fakasonjudohalfuniranzimurugaja dakakumwuldakifonhe. |
Fondagakatakazlohiciliqogenunrkoqilfunirhanqa ldakifonheanrikawaqononlfunir. |
Pewelidilohiciliqogesanjaganzi dakagakaganjasldakifonheunkfukuv. |
Fakahondoeteldnurkoqilohiciliqogesonhodmuru dakakusungohowojelohiciliqlufingajaspinti dakafakasankaguunkucldakifonhe. |
Zusolidifakashondolohiciliqogeoge eteldnurkoqilohiciliqlufinsohodakaronnowldakifonhe. |
엘리로들당키호느에론조곰호니 |
---|
훙쿠화카스펜델다키호느에상카그. |
화카손주도알후니란씨무루가자 다카쿰울다키호느에. |
혼다가카타카쓸로의칠리쇼게눈르코힐후니르안샬 다키호느에안리카와쇼노늘후니르. |
페웰리딜로의칠리쇼게산자간씨 다카가카간자슬다키호느에웅크후쿠우. |
화카온도에텔드누르코힐로의칠리쇼게소누오드무루 다카쿠숭고옹워젤로의칠리힐루휭가자스핀티 다카화카산카구웅쿠츨다키호느에. |
쑤솔리디화카스온돌로의칠리쇼게오게 에텔드누르코힐로의칠리힐루휜소오다카론노울다키호느에. |
조어 방법
화칸어는 놀랍게도 한국어의 고유어 어휘를 잔뜩 비틀어서 만들어진 것이다. 다만 중간 과정에서 QWERTY 자판에서 한영 키를 눌러가며 바꾸기 때문에 한국어에서 따왔다는 사실은 좀처럼 알아채기 어렵다.
- 문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가 필요하다.
- 문은 한자어이므로 고유어 어휘인 오래로 대체한다.
- 오래를 영타로 변환하면 dhfo가 된다.
- dhfo를 역순으로 바꾸면 ofhd가 된다.
- 오래의 모음을 따와 o와 e를 취한다.
- ofhd에 o와 e를 규칙에 따라 끼워넣는다.
- (c)vcvc…가 이상적이다: ofohed 완성!
- 사포타 변환기를 사용해 재민으로 바꾼다.
음성 | 중성 | 양성 | |
---|---|---|---|
곡용 | [11] 문의 |
[12] 문 |
[13] 문으로 |
활용 | [14] 여닫았다 |
[15] 여닫다 |
[16] 여닫을 것이다 |
다만 위의 활용형과 별개로, "열다-닫다" 역시 새롭게 만들어질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제작자가 화칸어를 사용할 때는 그때그때 한국어를 바꿔가며 쳐내듯이 번역하는 편이기에, 기존에 마땅한 단어가 있었는지조차 까먹기 쉽기 때문이다.
도보게
각주
- ↑ 1.0 1.1 2024년 11월 5일 14시 42분 26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3.0 3.1 Fakaan, [fäkäːn̪]
- ↑ 화칸인들의 언어가 아닌 화칸어이기에 sk'대신 k'만 쓴다.
- ↑ Fankat, [fäŋkät̪]
- ↑ Fakat, [fäkät̪]
- ↑ Fakant, [fäkän̪t̪]
- ↑ Funkut, [fuŋkut̪]
- ↑ Fukut, [fukut̪]
- ↑ Fukunt, [fukun̪t̪]
- ↑ Ofonhed, [o̞fo̞ŋɣe̞d̪]
- ↑ Ofohed, [o̞fo̞ɣe̞d̪]
- ↑ Ofohend, [o̞fo̞ɣe̞n̪d̪]
- ↑ Afanhid, [äfäŋɣid̪]
- ↑ Afahid, [äfäɣid̪]
- ↑ Afahind, [äfäɣ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