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트.svg 상위 문서 : 앙둔 제국/어문

+ 갑인 문화
절기 어문 음식
관광 스포츠 음악
+ 헤이어
Xeibuju / Kheibudzu (IPA: ʜɘɨβʉɖ͡ʐʉ)
사용 국가 앙둔 제국 앙둔 제국, 주아트리아 산업단지 주아트리아 산업단지
사용 지역 메티샤 동북부, 아트리아 서북부
사용 민족 갑인
언어 인구 제국본토: 8,976,392명(4700년)
주아산단: 677,766명(4700년)
어순 SVO
언어 계통 갑인어족
 헤이어파
  헤이어
초기형태 갑인조어
사전 [ 헤이어_사전]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앙둔 제국 앙둔 제국, 주아트리아 산업단지 주아트리아 산업단지
표기문자 투꺙 문자, 와르나말라 문자, 라틴 문자

개요

헤이어(헤이어: Xeibuju / Kheibudzu)앙둔 제국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앙둔 제국의 국어이자 공용어이고, 메티샤 대양 갑인들의 통용어이다. 갑인어족에 속하는 교착-굴절어이며, 기본 어순은 SOV이다. 갑인어족에 속하는 이웃 언어들이 각자 통합된 어파나 어군을 가지는 것과는 달리 헤이어는 독자 어파로 분류되는데, 이는 인공어에 가깝다고 할 정도로 국가가 주도한 급진적인 개혁을 통해 만들어진 언어이기 때문이다. 헤이어 어휘는 다음 링크를 참조하기 바란다. [1]

명칭

명칭
앙둔 제국
헤이어
Xeibuju(국내표준)
Kheibudzu(국제표준)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미코로스 아케뒤
Miqejos Akeedy
바샨니
바샨니어
Aikichishiy
구오
사삼오일
28 4351, 28410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어
Heie, y'Anndunespika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i'Leni sk'Eiy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Heie, j'Anndunéspika
대한민국
한국어
헤이어, 헤이부주
영국
영어
Khei language, Kheibudzu
일본
일본어
ヘイ語, ヘイブヅ
안드로
안드로어
gpdldj, gpdlqnwn
메다
메다어
mcjdjt, mcjd;blb

역사

갑인어족
헤이어파 헤이어
†창헤샨어파 창어군 창어
헤샨어군 헤스어 헤스할디레어
할디레어
켸날디레어
†켸네이어파 켸네이어 울타펭차르어
†뀨나어파 뀨나어 스샤툴루아어
뗑봘루어파 뗑브어군 뗑브어 럼티어
뽀왈루어군 뽀왈루어 칭보흐어

음운

갑인은 인간과는 판이하게 다른 구강구조를 지니며, 그 때문에 3쌍의 턱다리와 물방울의 출입을 이용하여 조음한다. 편의상 국제음성기호를 통하여 음운 정보를 표기하였으나, 실제로는 미묘하게 다른 소리를 내므로 주의를 요한다. 특히 헤이어의 모음은 모두 중설 모음인 것이 특징인데, 이는 갑인의 신체적 한계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헤이어를 처음 듣는 사람은 웅얼거리는 소리로만 들려오기 십상이고, 알아듣기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자음
양순 순치 권설 경구개 후두개
ɳ
⟨n⟩
[3]
파열 ʈ
⟨t/y⟩
[4]
ɖ
⟨d⟩
[5]
c
⟨k/q⟩
[6]
ɟ
⟨g⟩
[7]
파찰 ʈ͡ʂ
⟨c⟩
[8]
ɖ͡ʐ
⟨j⟩
[9]
마찰 ɸ
⟨p/f⟩
[10]
β
⟨b⟩
[11]
ʂ
⟨s⟩
[12]
ʐ
⟨z⟩
[13]
ʜ
⟨x⟩
[14]
ʢ
⟨h⟩
[15]
접근 ʋ
⟨m⟩
[16]
ɻ
⟨r⟩
[17]
j
⟨zi⟩
[18]
설측
접근
ɭ
⟨l⟩
[19]
양순
연구개
파열 k͡p
[20]
접근 w
⟨w⟩
[21]

헤이어 자음의 음운 변동은 총 4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또다시 조음 방법 변동(비모음화·r화 모음화)과 조음 위치 변동(불파음화·양순연구개음화)로 묶을 수 있다.

비모음화는 ⟨m⟩·⟨n⟩·⟨g⟩이 모음에 후행하면서 음절 말에 올 때 발생하는 음운 변동으로써, 모음에서 코로 기식이 나뉘어지면서 발현된다. 이는 과거 갑인어족에 속하던 언어들에서 [ɳ] ⟨n⟩과 더불어 존재했던 비음 [m] ⟨mh⟩과 [ɲ] ⟨nj⟩의 흔적으로, 아직 존속 중인 이웃 언어 럼티어에서는 이 음운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18가지 경우가 있다.

  • [ɨN] → [ɨ̃]
  • [ɘN] → [ɘ̃]
  • [əN] → [ə̃]
  • [ɐN] → [ɐ̃]
  • [ʉN] → [ʉ̃]
  • [ɵN] → [ɵ̃]

r화 모음화는 ⟨r⟩이 ⟨s⟩·⟨g/k/q⟩에 후행하면서 자음 앞에 올 때 발생하는 음운 변동으로써, 한글로는 "ㅡ"라고 옮긴다. 성절 자음으로 기능함과 동시에 선행 자음의 접근음적 성격을 상쇄시키는 것이다. 4가지 경우가 있다.

  • [ʂ] + [ɻ] → [ʂɚ]
  • [ɟ/c/cʰ] + [ɻ] → [ɟɚ/cɚ/cʰɚ]

불파음화는 ⟨p/f⟩·⟨t/y⟩·⟨k/q⟩이 모음에 후행하면서 음절 말에 올 때 발생하는 음운 변동으로써, 경제성을 살리기 위해 발음이 쉬운 음운으로 바뀐 결과물이다. 6가지 경우가 있다.

  • [Vɸ/Vɸʰ] → [p̚]
  • [Vʈ/Vʈʰ] → [t̚]
  • [Vc/Vcʰ] → [k̚]

양순연구개음화는 원순 모음 뒤에 불파음 [p̚] 혹은 [k̚]이 후행할 때 발생하는 음운 변동으로써, 자음 연쇄가 발생하여 이중조음화되는 것이다. 2가지 경우가 있다.

  • [Vp̚]/[Vt̚] → [Vk͡p]
+ 모음
 
중설
   


ɨ
⟨i⟩
ʉ
⟨u⟩


ɘ
⟨e⟩
ɵ
⟨o⟩

ə
⟨v/eo⟩


ɐ
⟨a⟩

헤이어 모음의 음운 변동은 총 3가지로써, 조음 방법 변동인 비모음화·r화 모음화·접근음화가 있다.

비모음화는 상술했으므로 설명하지 않는다.

r화 모음화는 상술한 자음의 음운 변동과 비슷하게, ⟨r⟩이 ⟨v⟩에 후행하면서 자음 앞에 올 때 발생하는 음운 변동이다. 1가지 경우가 있다.

  • [ə] + [ɻ] → [ɚ]

접근음화는 다른 언어들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듯이 [j]와 [w]로 음운 변동이 발생하는 것이다. 2가지 경우가 있다.

  • [ɨV] → [ʲV]
  • [ʉV] → [ʷV]

헤이어의 음소 배열은 제약이 없으나, 대체로 최대 CCVVCC 수준이다. 다만 모음의 경우에는 VV까지만 허용하며, 외래어의 고유명사를 옮길 때는 [ʐ] ⟨z⟩를 첨가한다. 좋은 예로, 펠라인카이아는 Felainkrazia로 표기한다.

문자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투꺙 문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문법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헤이어/문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회화

여담


가사

Qabiwaysalin Svmiv / Chabiwathshalin Sheovyeo 월요일 좋아 (캬비왓샬린 셔며)
Frwvomir Bobbob / Phrweozovir Bobbob 스펀지밥 3D (프뤄오미르 보브보브)


Pigpig, Consalin gupsalinv?
Pingping, Tsonshalin jupshalineo?
핑핑아, 오늘이 무슨 요일이야?
삥삥, 촌샬린 귭샬리너?

Miziaw
Viyaw
미야오
미야우

Qabiwaysalin? A, Qabiwaysalin!
Chabiwathshalin? A, Chabiwathshalin!
월요일? 아, 월요일!
캬비왓샬린? 아, 캬비왓샬린!

Qabiwaysalin svmiv, Menmen svmiv
Chabiwathshalin sheovyeo, Venven sheovyeo
월요일 좋아, 최고로 좋아
캬비왓샬린 셔며, 멘멘 셔며

Omi nabolidulip men xeyea
Ovi nabolidulip ven khethea
난 일 할 때 제일 멋지지
오미 나볼리둘립 멘 헤테아

Consalin yokagan salinv
Tsonshalin thocajan shalineo
오늘부터 열심히 할 거야
촌샬린 토꺄갼 샬리너

O svmiv, Qabiwaysalin
O sheovyeo, Chabiwathshalin
오 좋아, 월요일 좋아
오 셔며, 캬비왓샬린

Zomizomiada, Pigpig!
Zovizovyada, Pingping!
같이 불러, 핑핑아!
오미오먀다, 삥삥!

Qabiwat, Qabiwat, Qabiwat
Chabiwat, Chabiwat, Chabiwat
월요일, 월요일, 월요일
캬비왓, 캬비왓, 캬비왓

-salin svmiv
-shalin sheovyeo
월요일 좋아
-샬린 셔며

Cumbu, Sakat srerima!
Tsumbu, Shacat seriva!
제발 좀 조용히 해!
춤부, 샤꺗 세리마!

Qabiwaysalin svmit zomiadan rindindo
Chabiwathshalin sheovit zovyadan rindindo
월요일이 좋아서 난리 떠는 멍청이는
캬비왓샬린 셔밋 오먀단 린딘도

Consuijoiz fio nvwtax
Tsonshwidzoiz phyo neowtakh
이 세상에 너 뿐일 거야
촌쉬조이으 표 너우따흐

Qabiwaysalin svmiv
Chabiwathshalin sheovyeo
월요일 좋아
캬비왓샬린 셔며

Gempas
Jampash
맙소사
곔빠시

Urma daldagan salinv
Urva daldajan shalineo
진짜 맛있는 날이야
우르마 달다갼 샬리너

Cumbu, diziom
Tsumbu, diyom
제발 그만해
춤부, 디욤

Niamniam salmeqbvgrv
Nyamnyam shalvechkbeogeo
냠냠 게살버거
냠냠 샬멕버거

Fio uac japa
Phyo wats dzapa
넌 3개 먹어
표 우아츠 자파

Ozie, Zomiada, Omit tegacuga!
Oye, Zovyada, Ovit tejatsuja!
오예, 노래하자, 내 뱃살아!
오예, 오먀다, 오밋 떼갸추갸!

O svmiv, Qabiwaysalin
O sheovyeo, Chabiwathshalin
오 좋아, 월요일 좋아
오 셔며, 캬비왓샬린

Qabiwaysalin svmiv svmiv
Chabiwathshalin sheovyeo sheovyeo
월요일 좋아 월요일 좋아
캬비왓샬린 셔며 셔며

Consalin Qabiwat! Consalin Qabiwat! O svmiv!
Tsonshalin Chabiwat! Tsonshalin Chabiwat! O sheovyeo!
오늘은 월요일! 오늘은 월요일! 오 좋아!
촌샬린 캬비왓! 촌샬린 캬비왓! 오 셔며!

Qabiwaysalin
Chabiwathshalin
월요일 좋아
캬비왓샬린

도보게

각주

  1. 2024년 7월 6일 08시 09분 21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국제표준: n
  4. 국제표준: t/th
  5. 국제표준: d
  6. 국제표준: c·ck/ch·chk
  7. 국제표준: j
  8. 국제표준: ts
  9. 국제표준: dz
  10. 국제표준: p/ph
  11. 국제표준: b
  12. 국제표준: sh
  13. 국제표준: z
  14. 국제표준: kh
  15. 국제표준: h
  16. 국제표준: v
  17. 국제표준: r
  18. 국제표준: y
  19. 국제표준: l
  20. 변이음
  21. 국제표준: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