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lad comsen gá comkreittropim Meras |
---|
셰스카테 · 셰스카테어와 풀르어 · 쿠므사테와 흐줌사테 |
지리 · 국기 · 교육 · 군사 · 국제관계 · 문화 |
[ 관련 틀 ] |
사용 국가 | 셰스카테, 오모나 자유국, 셰스카테의 속령 |
---|---|
사용 지역 | 레니스카 북부 |
언어 인구 | 약 1억 12만명 |
어순 | SOV |
유형 | 교착어 |
언어 계통 | 자소크어족 자소크어파 셰스카테어파 셰스카테어 |
초기형태 | 자소크어, 파인어, 풀르어, 초기 셰스카테어 |
언어코드 | SC-SS |
사전 | 셰스카테어_사전 |
언어 | 명칭+ |
---|---|
셰스카테어 | Fianenosum Scheskatté |
풀르어 | Szeskatte bala |
세멘티어 | Ellend Esheskartõ |
이렘나어 | i'Leni k'Hyeshchataa |
이렘나 자소크어 | i'Cheshkotzshfech |
자텐다어 | Aláne 'Sanáyškávan |
한국어 | 셰스카테어 |
영어 | Scheskattese |
안드로어 | tPtmzkxpdj |
메다어 | n7ng0f'cjt |
개요
셰스카테어는 셰스카테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파인어와 자소크어에 큰 영향을 받은 언어이다. 언어계통적으로는 자소크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나, 자소크 철학단과 모하지 공화국으로부터 플리오센 공화국을 거쳐 이동하여 초기 셰스카테어가 생겼고, 그리고 근접국들의 언어에도 영향을 받으면서 셰스카테어파로 새로 분류되었다.
계통
역사
위 자료는 겔레아인들이 사용했던 변질된 자소크어를 라틴 문자로 기록한 문헌이다. 셰스카테어는 바로 이 변질된 자소크어로부터 비롯하였다. 자소크어는 체계적으로 확산된 것이 아니었으므로, 동시다발적인 수용 과정에서 수많은 이형이 생겨났다. 변이 자소크어들은 차차 통합되었으나 파인어, 로포나어, 라졔르베라어 등 종잡을 수 없이 많은 언어가 계속해서 영향을 끼치면서 급진적인 변화는 끊이지 않았다.
시간이 흘러 겔레아인들이 풀르 자치국에서 벗어나 셰스카테 임시정부를 세울 즈음에야 비로소 그들의 언어는 셰스카테어라 말할 수 있을 수준의 정교함을 갖추게 되었다. 셰스카테 임시정부는 현 셰스카테 언어부의 전신인 언어통일부를 조직해 셰스카테어의 표준을 정립하였다.
음운
자음
양순 |
순치 |
치경 |
후치경 |
경구개 |
연구개 |
성문 |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
비 |
m ⟨m⟩ |
n ⟨n⟩ |
ŋ ⟨ng⟩ |
|||||||||||
파 열 |
p ⟨p⟩ |
b ⟨b⟩ |
t ⟨t/th⟩ |
d ⟨d⟩ |
k ⟨c/k/qu⟩ |
ɡ ⟨g⟩ |
||||||||
파 찰 |
t͡s ⟨ç/z/tz/gz/dz⟩ |
t͡ʃ ⟨cz/tx⟩ |
||||||||||||
마 찰 |
f ⟨f/fv/fh⟩ |
v ⟨v⟩ |
s ⟨c/s⟩ |
ʃ ⟨x/sh/sch/sj⟩ |
x ⟨ch⟩ |
h ⟨h⟩ | ||||||||
접 근 |
j ⟨j/i⟩ |
∅ ⟨h⟩ | ||||||||||||
설측 접 근 |
l ⟨l⟩ |
|||||||||||||
탄 |
ɾ ⟨r⟩ |
|||||||||||||
전 동 |
r ⟨r⟩ |
|||||||||||||
양순연구개 | ||||||||||||||
접 근 |
w ⟨w⟩ |
모음
|
전설 |
근전설 |
중설 |
근후설 |
후설 | |||||
---|---|---|---|---|---|---|---|---|---|---|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고 |
i ⟨i/í/e⟩ |
y ⟨ÿ[2]⟩ |
u ⟨u/ú/yu⟩ | |||||||
근 고 |
ɪ ⟨i/e⟩ ⟨ie[2]⟩ |
ʏ ⟨ü⟩ |
ʊ ⟨au/ou⟩ |
|||||||
중 고 |
e ⟨e/é⟩ ⟨ä[2]⟩ |
ø ⟨ö/iy/oe/uy/yi⟩ |
o ⟨o/ó⟩ | |||||||
중 |
ə ⟨a/y/ý/er[3]⟩ |
|||||||||
중 저 |
ɛ ⟨e/ey/ae⟩ ⟨ae[2]⟩ |
ʌ ⟨ya/yo⟩ ⟨oy/ya/ye[2]⟩ |
||||||||
근 저 |
ɐ ⟨ay⟩ |
|||||||||
저 |
a ⟨a/á⟩ |
-a | -e | -i | -o | -u | -y | |
---|---|---|---|---|---|---|
a- | ɛ~ɛː | aɪ | ao | aʊ~ʊː | e: | |
e- | ea | aɪ | eo, ə~ʌ | eːʊ~ɔɪ̯~ɔʏ̯ | ɛ | |
i- | ɪa~ja | ɪː | ɪo~jo | ju | e: | |
o- | oa | ø | ø | ʊː | ʌː | |
u- | wa | we | wi | wo | wʌ~ʌː | |
y- | ʌ~ʌː | ʌː | e | ʌ | ʊ~ʌ |
변이음
r앞에 연구개음, 치경 파열음이 온다면 그 r은 /r/나 /ɾ/이 아닌 /ʁ/이 된다.
문자
A a | Á á | Ä ä | B b | C c | Ç ç | D d |
---|---|---|---|---|---|---|
A | Án | Ä | Be | Ca | Ça | De |
E e | É é | F f | G g | H h | I i | Í í |
E | Én | Fe | Ge | He | I | Ín |
J j | K k | L l | M m | N n | O o | Ó ó |
Je | Ke | Le | Me | Ne | O | Ón |
Ö ö | P p | Q q | R r | S s | T t | U u |
Ö | Pi | Que | Re | Se | Te | U |
Ú ú | Ü ü | V v | W w | X x | Y y | Ý ý |
Ún | Ü | Ve | We | Hxes | Y | Ýn |
Ÿ ÿ | Z z | |||||
Ÿ | Zet |
문법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어/표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어/통사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어순은 기본적으로 SOV의 형태를 띄고 있다
회화
셰스카테어 | 의미 |
---|---|
Exeintmogen | 좋은 아침입니다. |
Exeintinmogen | 좋은 밤 보내세요. |
Exeintinsalúns | 안녕히 주무세요, 잘 자 |
Niskella | 안녕하세요. |
Exeintgegeprizen | 반가워요, 만나서 반갑습니다. |
Fligezé | 잘 부탁드립니다. |
Alleksin | 안녕히 계세요. 안녕히 가세요. 안녕. 잘 가. |
Mera gi exeintun[4] | 고마워요. 감사합니다. |
Raxein[5] | 고마워 |
Deali | 미안해. 미안합니다. |
Ja | 그렇습니다. 응. 네. |
No | 아니요. |
Biexeint | 아주 좋아. 아주 좋아요. |
Tan ul remiúns. | 여기로 와주세요. |
Tacitekuf da tanö fietanun? | 화장실이 어디에 있나요? |
Quis da lisö? | 그게 뭐야? |
Vequo! | 신기하다! |
Lisö conefen? | 무슨 일이야? 무슨 일이에요? |
Noexeint... | 별로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