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각상운명태 노랑.svg

자소크 철학단 · 자소크어베르쿠암 · 재민 · 운론포터스 · 에빈카바스
지리 · 국기 · 전쟁 · 교육 · 국제관계
[ 역사 ]
+ 투타여르 데 자소크.svg
투타여르 데 자소크의 역사
Dise dé Tutaÿr dé Zasoque · Mazasorisicanoech de Tutayer de Zasoc
[ 0–5218년 ]
에비아 시대 - 자스호카 민족 리브렌스카 민족+
스텔리 시대 2년
리뉴 시대 565년
900년 경 자소크 문화
다시스 시대 2717년
2820년 9월 7일 자소크 국가연합 자소크 국가연합 결성
하키엘러시아 텔리아토스 치흐 헥타레시 에비타겐
2948년 5월 13일 우훗 제도 우훗 제도
크리산테 시대 3022년
3577년 2월 5일 하키엘러시아
와기제 시대 3996년
4008년 2월 5일 자소크 국가연합 자소크 국가연합 통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4156년 4월 11일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4164년 8월 15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UMG UMG UMG UMG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5104년 5월 8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맹세기사단 자소크 맹세기사단
5105년 5월 3일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5125년 8월 10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5218년 이후
[ 5218년–현재 ]
5218년 이전+
와기제 시대 이전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5218년 7월 2일 북 하키엘러시아 포터스공학 연맹 양 사시나 철학단 에비타겐-밀리아 왕국 북 자소크 평의회 아브렌시아 모닉쇼 공화국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
5299년 3월 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
북 하키엘러시아 임시정부 양 사시나 임시정부
5513년 7월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
5515년 3월 (멸망)
현재: 5758년 3월 3일[1]
[ 관련 틀 ]
+북메티샤조약기구.svg
북메티샤 조약기구
회원국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철학단
사흐러스탄 부족연맹 국기.png
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
크리상테스국기.svg
크리상테스 왕국
아르토이트제국국기.svg
아르토이트 제국4927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노베몰마디아 공화국5019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공화국5278
모하지국기.svg
모하지 공화국 자소크 철학단플리오센 공화국5278
-
참관국
AR 그룹.jpg
AR 그룹[2]
95국기.svg
구오
- -
탈퇴국
밀리토호스타코뤼국기.svg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세멘티 공국.jpeg
세멘티 공국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3]
세멘티네라크뤼스.jpeg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 아르토이트 제국4927[3]
-
+탄티스카환경협약체로고.svg
탄티스카 환경협약체
유제이체 국기.png
유제이체 공화국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공화국
셰스카테-001.png
셰스카테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노베몰마디아 공화국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철학단 소재 4개 주[6]
- - -
+복각상기.svg
자소크어를 사용하는 국가
[ 펼치기 · 접기 ]
행정 언어 및 일상어로 사용하는 국가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철학단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노베몰마디아 공화국
티칸국기.svg
티칸 대제국
셰스카테-001.png
셰스카테[7]
북사국통위로고.svg
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
영토의 일부 지역에서 자소크어를 공식적인 국어로 인정하는 국가
모하지국기.svg
모하지 공화국
호락존안도국기.svg
호락존 안도
북 자소크.jpg
북 자소크 평의회[8]
다른 언어와 자소크어를 행정 언어로 병용하는 국가 더 이상 자소크어를 사용하지 않는 국가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공화국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jpg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
+ 탄티샤의 국가와 지역
사트.svg
동당뎅
북사국통위로고.svg
북사국통위
Larudan Flag.png
라루단
크리상테스국기.svg
크리상치아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 텐메이메디아의 국가와 지역
파일:Tasdia de sat.png다이와AR 에르뎀은 장성연맹구오 / 초월기계국가AR 세르네데AR 프레니처AR 프레니처AR 세요짐AR 일몰 제도 지사AR 일몰 제도 지사AR 오닉서커트AR 에르뎀AR 나지에셔트AR 베센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네라다 공민공화국셰헤카사 제도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자소크의 아마야스 주 정부가린다리 헌국쇠예흐 대제국도르나라세이안 왕국쟈헤나 섬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칼르신 공화국야마토-타코뤼 공동구역레프레누제의 툼라시니노 연방 공화국에카넥 왕국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에스라스타의 베하니아 항구 특별주일라스파니스티칼리바리프노이헤멜바르트 제국세멘티 공국아르토이트 제국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주남메디아 산업단지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아나키스트 코뮌 연방아나키스트 코뮌 연방베레테르니유 신성국주펠레마 산업단지디메르테스 자치령남토이트 기사단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주노데 왕국칼로이디아천도주아트리아 산업단지피니투라-페투치아-레조넌스 제국파룸뤼미에르무르무르섬아나이 공화국한카 교회국칸다리 천문대호락존 안도주아트레니스카 산업단지신네 란부세가오크랍토스앙둔 제국터트족자소크 철학단크리상테스 왕국자소크 철학단에비타겐-밀리아 왕국에비타겐-밀리아 왕국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아브렌시아아브렌시아북 자소크 평의회모닉쇼 공화국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라루단라루단주탄티샤 산업단지이룰 연방루시코와노베몰마디아 공화국유제이체 공화국그래그래 공화국레프레누제 연합대엔지 제국플리오센 공화국주레니스카 산업단지모하지 공화국신세이 왕국라졔르베라사떼 로요그리로아센셰스카테포투티칸 대제국테사시테스 자치령Tasdia de sat.png
네라다 공민공화국.jpeg
네라다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svg
야마토
아마야스주정부기.svg
아마야스 자소크 철학단
+ 서레니스카의 국가와 지역
파일:Tasdia de sat.png다이와AR 에르뎀은 장성연맹구오 / 초월기계국가AR 세르네데AR 프레니처AR 프레니처AR 세요짐AR 일몰 제도 지사AR 일몰 제도 지사AR 오닉서커트AR 에르뎀AR 나지에셔트AR 베센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네라다 공민공화국셰헤카사 제도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자소크의 아마야스 주 정부가린다리 헌국쇠예흐 대제국도르나라세이안 왕국쟈헤나 섬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칼르신 공화국야마토-타코뤼 공동구역레프레누제의 툼라시니노 연방 공화국에카넥 왕국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에스라스타의 베하니아 항구 특별주일라스파니스티칼리바리프노이헤멜바르트 제국세멘티 공국아르토이트 제국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주남메디아 산업단지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아나키스트 코뮌 연방아나키스트 코뮌 연방베레테르니유 신성국주펠레마 산업단지디메르테스 자치령남토이트 기사단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주노데 왕국칼로이디아천도주아트리아 산업단지피니투라-페투치아-레조넌스 제국파룸뤼미에르무르무르섬아나이 공화국한카 교회국칸다리 천문대호락존 안도주아트레니스카 산업단지신네 란부세가오크랍토스앙둔 제국터트족자소크 철학단크리상테스 왕국자소크 철학단에비타겐-밀리아 왕국에비타겐-밀리아 왕국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아브렌시아아브렌시아북 자소크 평의회모닉쇼 공화국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라루단라루단주탄티샤 산업단지이룰 연방루시코와노베몰마디아 공화국유제이체 공화국그래그래 공화국레프레누제 연합대엔지 제국플리오센 공화국주레니스카 산업단지모하지 공화국신세이 왕국라졔르베라사떼 로요그리로아센셰스카테포투티칸 대제국테사시테스 자치령Tasdia de sat.png
카마르 헌국.png
카마르
제리드발로타 국기.png
제리드발로타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노베몰마디아
사틸튼퇴 자유시 국기.svg
사틸튼퇴
FlagOfNixe.jpeg
닉세
셰스카테-001.png
셰스카테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Rusikowa.png
루시코와
Rang.png
랑서국
신세이.png
신세이
모하지국기.svg
모하지 플리오센 공화국 자소크 철학단

인사말

Quorsinuat

자소크어에는 존댓말과 반말의 개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사람이거나 낮은 사람에 관계 없이 언제나 같은 인삿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람을 만났을 때에는 "Aniska", 여러 사람을 만났을 때에는 "Aniskas"를 사용합니다.

사람과 헤어질 때에는 "Vanisha"를 사용합니다. 이때에도, 여러 명과 헤어지는 경우에는 "Vanishas"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침에, 혹은 자고 일어난 후에 하는 인사는 "Shainémog"입니다. "Shainémog"는 말 그대로 "좋은 아침"이라는 뜻입니다.

늦은 저녁에, 혹은 자기 전에 하는 인사는 "Shainénit"입니다. "Shainénit"는 말 그대로 "좋은 밤"이라는 뜻입니다.

시간에 따라 할 수 있는 인사가 여러가지 종류 있지만, 기본적으로 "Aniska"는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감사할 일이 있을 때에는 "Üpa."라고 합니다.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

Hepyúrgo

인칭대명사

Quorsinepyúrgo

'나', '너', '우리'와 같이 이야기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사람들을 나타내는 말을 '인칭대명사'라고 합니다. 인칭대명사는 "나"와 같이, 발화자를 뜻하는 '1인칭', "너"와 같이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을 뜻하는 '2인칭', "저 사람들"과 같이 이야기와 직접적으로 관련하지 않는 사람들을 뜻하는 '3인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소크어에는 여기에 추가로, "어떤 사람들"과 같이 정해지지 않은 누군가를 나타내는 '부정칭'을 추가하여 총 네 종류의 인칭대명사가 있습니다.

화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1인칭 단수는 miro, 1인칭 복수는 mira, 2인칭 단수는 niro, 2인칭 복수는 nira, 3인칭 단수는 hiro, 3인칭 복수는 hira, 부정칭 단수는 siro, 부정칭 복수는 sira입니다.

여기서 3인칭 단수의 발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Hiro, hira는 /히로/, /히라/가 아니라 /'이로/, /'이라/라고 발음합니다. 이 단어들의 시작음은 한국어로 숫자 1을 발음할 때 시작하는 소리[9]와 같습니다. 자소크어에서 단어 처음에 나타나는 대부분의 h는 성문 파열음으로 소리나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지시대명사

Skiepyúrgo

'이것', '저것'과 같이, 특정한 대상을 이름 대신 가리키는 단어를 '지시대명사'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언어에서 지시대명사는 이것, 저것, 그것, 어느것의 네 가지 종류를 가지고, 자소크어에도 이 네 가지 종류의 지시대명사가 있습니다.

이것은 dis, 저것은 dash, 그것은 his, 어느 것은 do입니다.

여기서도 '그것'을 뜻하는 his의 발음에 조심해야 합니다. '그것'은 /히스/가 아니라 /'이스/라고 발음해야 합니다.

자소크어의 '저것'과 '그것'은 한국어의 지시대명사와 약간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어의 '저것'은 이야기를 듣는 사람과 발화자 둘 다에게 멀리 있는 것을 가리킬 때에 사용하는데, dash는 발화자와 청자의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가리켜 표현할 수 있고, 한국어의 '그것'은 청자의 주변에 있는 것을 가리킬 때에 사용하는데, his는 청자의 주변에 있는 것과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체를 인식하는 것을 함께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저것, 그것과 완벽히 대응하는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이 지시대명사를 정확하게 사용하고 이해하기 위해선 자소크어로 된 많은 문장을 이해하고 말해 보아야 합니다.

"A는 B입니다."

"A's B."

자소크어에서 "A는 B입니다."와 같은 문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명사의 보조격, 즉, "-은/는"을 붙인 형태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어떤 명사에 대해 보조격 조사를 붙일 때에는 "As, Bas"와 같은 형태의 조사를 사용합니다. A는 어떤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를 의미하며, B는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를 의미합니다. 즉,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에는 '-s',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에는 '-as'를 붙여서 단어의 보조격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사람'이 quorsin이면 '사람은'은 quorsinas, '이름'이 nam이면 '이름은'은 namas, '나라'가 natio이면 '나라는'은 natios, '나'가 miro이면 '나는'은 miros입니다.

이렇게 만든 보조격으로 "나는 사람입니다."를 나타내면 "Miros quorsin.", "저것은 나라입니다."를 나타내면 "Dashas natio."입니다.

자소크어로 '입니다'에 해당하는 말은 'izùm'이고, 문장의 가장 뒤에 붙어 "Miros quorsin izùm.", "Dashas natio izùm."과 같이 작문할 수도 있지만, "A는 B입니다."와 같은 구조의 보조사가 사용된 문장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물론 izùm을 붙이는 것이 문법적으로는 잘 갖춰진 문장입니다.

"A는 B입니까?"와 대답

"As B a?" ad Sespov

자소크어의 문장들은 문장의 끝을 올리면 질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서 "Niros quorsin."은 "너는 사람이다."를 뜻하는데, "Niros quorsin?"은 "너는 사람이니?"를 뜻하게 됩니다.

하지만 톤을 높이는 것만으로는 질문의 의미가 약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때에는 문장의 마지막에 "a?"를 붙여서 질문의 어기를 만들어줍니다. 즉, "Niros quorsin a?"는 "너는 사람이니?"라고 질문하는 것입니다.

"네", "아니요"와 같이 대답할 수 있는 질문에는 긍정을 뜻하는 "Ä", 부정을 뜻하는 "Nah"를 사용해서 답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nah'의 h는 무성 구개수 마찰음[10]에서 무성 구개수 전동음[11] 정도로 읽는 것이 원칙입니다. 무성 구개수음이 내기 힘들다면, 그냥 ㅎ 소리를 내거나 a를 길게 읽을 수도 있습니다.

A: "Miros quorsin." 나는 사람이야.

A: "Niros taso a?" 너는 사람이니?

B: "Nah, miros quorsin." 아니, 나는 사람이야.

B: "Niros?" 너는?

C: "Miros taso." 나는 고양이야.

"A는 B가 아닙니다."

As B nah.

영상을 시작하기 전에 자소크어 단어 목록을 확인하고 공부할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영상 설명에 있는 스프레드시트 문서는 자소크어의 모든 단어를 정리해놓은 문서로, 알고 싶은 단어가 있거나 있을 때에 언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링크임을 알려드립니다.

"A는 B가 아닙니다."와 같이, "A는 B입니다"의 부정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문장의 맨 끝에 "nah"를 붙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iros quorsin nah."는 "나는 사람이 아닙니다."를 의미합니다.

또한, "A는 B가 아닙니다."에서 B에 해당하는 말 뒤에 "da"를 붙여서도 표현합니다. "da"는 주격조사 "-이/가"에 해당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Miros quorsin da nah." 역시 "나는 사람이 아닙니다."를 의미합니다.

동사가 사용된 문장

Zuryúrgo da Poirnùque Ékomkos

걷다, 먹다, 입다 등과 같이 주어의 행동을 나타내는 단어를 동사라고 합니다. "나는 걷습니다."와 같이, 주어의 행동을 나타내는 부분에 동사가 사용된 문장은, 문장 맨 뒤에 서술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동사는 원형 그대로 쓰이지 않고, 기본적으로 "-한다"의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 "-ùm"이 붙습니다.

예를 들어, "걷다"를 의미하는 동사 toie는 -ùm이 붙어 "걷는다"를 의미하는 "toiùm"이 되고, "알다"를 의미하는 naris는 "안다"를 의미하는 "narisùm", '있다'의 "iksis"는 "iksisùm", '보다'의 "vizash"는 "vizashùm"이 됩니다.

이 앞에 주어를 붙여 "Miros toiùm."이라고 하면 "나는 걷는다."라고 작문할 수 있습니다. "Taso da vizashùm."은 "고양이가 본다", "Makafashasinas narisùm."은 "회사원은 안다."를 의미합니다.

목적어가 있는 문장

Marshadyúrgo d' Iksis Ékomkos

"-을/를"이 붙어서 나타내는 부분을 목적격이라고 합니다. 자소크어에서 목적어는 "Al, B lo"의 형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즉, 모음 뒤에서는 "-l", 자음 뒤에는 "lo"를 붙여서 목적격을 나타냅니다. 이를테면, "그 사람"이라는 뜻의 3인칭 단수 'hiro'를 사용해서 "나는 그 사람을 본다."라는 문장을 만들면, "Miros hirol vizashùm."이라고 작문할 수 있습니다.

목적격 조사('-l', 'lo')와 자소크어 단어 'hiro'에 대해서 "그 사람을"은 "hirol", "trend"가 "예정" 혹은 "일정"일때, "예정을" 혹은 "일정을"은 "trend lo"가 됩니다.

"Lofanasinas trend lo potaùm."

목적어와 같은 조사를 사용하면서 주의해야 할 부분은 연음 축약 현상입니다. Lofanasin과 같이 n으로 끝나는 단어는 lo와 같이 있을 때에 발음하기가 어려워 연음 축약 현상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lofanasin lo"는 /lofanasilo/로 유음화가 일어나는데, 자소크어에서는 이것을 표기에 반영하여 "lofanasi' lo"라고 씁니다. 이와 똑같은 이유로, 조사로 쓰인 l과 단어의 l이 가까이 있는 경우, 즉 "Zasospikal lofanùm"과 같은 경우에는 조사 l을 따옴표로 표기하여 "Zasospika' lofanùm"과 같이 나타냅니다.

이러한 규칙에 따르면 "alonin"은 "aloni' lo", "lofanasin"은 "lofanasi' lo", "glishin"은 "glishi' lo"로 쓰이고 읽히게 됩니다.

"~에 있습니다."

"~ u iksisùm."

자소크어로 "~에 있습니다."라는 말을 하기 위해서는 조사 "~에"에 해당하는 단어, "u"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에 있습니다."는 "~ u iksisùm."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집에"는 "doliah u", "학교에"는 "lofafashas u", "저기에"는 "dafashas u"로 쓰이고 읽힙니다.

"Geshtalutainas doliah u iksisùm."

"Aikifas aikitutayúr u iksisùm."

관형사 '-é'

Konämyúrgo '~è'

"~의", "~한"과 같이 명사에 속성을 추가하고 추가적인 서술을 해주는 부분을 관형사라고 합니다. 자소크어에서 관형사를 만들 때에는 관형격조사 "-é"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는 모음을 모두 지우고 관형격 조사를 붙입니다.

모든 형용사는 관형격조사 é가 붙은 상태로 명사를 수식합니다. 이때 형용사와 관형격조사, 명사는 붙여서 나타냅니다.

관형격 조사가 붙으면 "맛있는" "fontlan"은 "fontlané", "예쁜" "sion"은 "sioné", "좋은" "shain"은 "shainé"가 되고, "깃발"을 의미하는 "öa"는 "öé"가 되어 "깃발의"를 의미하게 됩니다. Öa는 모음으로 끝나기 때문에 관형격 조사를 붙일 때에는 끝의 a를 생략합니다.

이러한 단어로 명사구를 만들면 "fontlanéfudie", "sionéziroküh", "shainéspika" 등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가끔씩 Aé B, A éB, A é B와 같이 관형격 조사가 앞 뒤의 단어와 떨어져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앞 뒤로 긴 구가 왔을 때에, 구 전체를 대상으로 서술하는 경우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fontlanéfudie éposasin"은 "맛있는 음식의 냄새"인데, "냄새"가 수식받는 부분이 "맛있는 음식" 전체이기 때문에 "맛있는 음식에서 나는 냄새"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ontlané fudéposasin"이라고 하면 "맛있는 '음식의 냄새'"라는 뜻으로, 맛있는 것은 음식이 아니라 냄새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만약 é의 바로 뒤에 a가 온다면 /에아/의 발음이 어렵기 때문에 éa를 á로 표기하고, /야/라고 읽습니다. 이와 같이 éi, éo도 각각 í, ó로 바뀌고 /의/, /요/로 읽힙니다. 예외적으로 ée는 ê로 쓰이고 /에:/로 읽고, éu는 그대로 쓰이고 /유/라고 읽습니다.

"hisínsürta"

(그 사실)

"mashêlit"

(많은 돈)

또한, "A는 B하다."와 같이 형용사만을 사용한 서술은 "[A]s [B]"로, é 없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Fudis fontlan.", "음식은 맛있다.". "Disézirokühas non.", "이 친구는 나이가 많습니다.".

시제

Zusosaque

자소크어에는 -ùm으로 나타내는 일반시제 이외에도 원과거, 과거, 현재, 미래 시제가 있습니다. 각각의 시제는 "-èa", "-è", "-ìc", "-àd"를 사용하여 실현됩니다.

"Miros Zasospika' lofanàd."

(나는 자소크어를 공부할 것이다.)

"Mirézirokühas erasheniluo' lofanèa."

(내 친구는 철학을 공부하곤 했다.)

곡절 부호 ê

Asmotiskie

곡절 부호(â, ê, î, ô, û)는 그 곳에 해당 모음이 2번 왔다는 뜻이며, 그 모음을 길게 읽습니다.

곡절 부호를 포함한 단어로는 "aravîta", "hotâr", "litûm"이 있습니다.

어말의 que

Uacitnatanié "que"

자소크어에서 말 끝에 오는 /ㅋ/ 음소는 -que로 표현하며, Zasoque(자소크), linque(링크), livkosque(금지하다) 등의 단어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단어가 활용될 때에는 e를 제외한 -qu의 형태로 활용되므로 "금지한다"는 livkosquùm, 따라서 livkosqûm이 되고, "자소크의"는 Zasoqué라고 표기합니다.

피동과 사동

Diosuzur ad Diosazur

"내가 공부한다."와 같이 내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와 반대로, "내가 배운다(가르침을 받는다)."와 같이, 행동의 주체가 다른 사람이고 주어가 행동의 객체가 되었을 때의 동사를 "피동사"라고 합니다. 피동사가 아닌 동사를 "능동사"라고 하는데, 자소크어 동사는 모두 기본적으로 능동사입니다. 자소크어의 능동사를 피동사로 만들기 위해서는 -ùque라는 어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ios"의 피동사는 "diosùque", "lofan"의 피동사는 "lofanùque", "uat"의 피동사는 "uatùque"[12]입니다.

피동사는 그 자체로 하나의 동사이기 때문에 "diosùqûm", "lofanùquê"와 같이 그 뒤에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를 붙여 문장의 서술어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내가 가르친다."와 같이 내가 다른 사람에게 동작을 하도록 시키는 경우의 동사를 "사동사"라고 하고, 사동사가 아닌 동사를 "주동사"라고 합니다. 자소크어의 동사는 모두 기본적으로 주동사이므로, 사동사를 만들기 위해서는 -às라는 어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ios"의 사동사는 "diosàs", "lofan"의 사동사는 "lofanàs", "uat"의 사동사는 "uatàs"[13]입니다.

사동사 역시 그 자체로 하나의 동사이기 때문에 "diosàsum", "lofanàse"와 같이 그 뒤에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를 붙여 문장의 서술어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으로; 서술어에 2개 이상의 어미가 붙은 경우, 가장 처음에 온 어미에만 억음 부호(è)를 표시합니다.

욕구와 의무

Picet ad Quomaka

자소크어에서 "~하고 싶다"나 "~해야 한다" 등의 표현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각 "-ùd", "-ùn" 어미를 사용합니다.

이를테면, "하고 싶다"는 "diosùd", "해야 한다"는 "diosùn"입니다. 같은 방법으로 "공부하고 싶다", "공부해야 한다"는 각각 "lofanùd", "lofanùn"이고, "말하고 싶다", "말해야 한다"는 각각 "uatùd", "uatùn"입니다.

욕구형 동사와 의무형 동사는 -ùm 등의 시제 어미를 사용해서 일반적인 동사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나, 그 자체로 형용사처럼 활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Hiros Zasospika' lofanùdum."과 "Hiros Zasospika' lofanùd." 모두 "그는 자소크어를 공부하고싶다."라는 뜻인데, 전자는 구어체, 후자는 문어체같은 느낌이 듭니다.

명령문과 청유문

Ureskie ad Omeskie

자소크어에서 명령 또는 청유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각 "-òm", "-òme" 어미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먹다", "orüd"의 경우, "먹어라"는 "orüdòm", "먹자"는 "orüdòme"이고, "만들다", "krif"에 대해 "만들어라"는 "krifòm", "만들자"는 "krifòme"입니다. "가다", "moque"에 대해서 "가라"는 "moquòm", "가자"는 "moquòme"입니다.


복수명사

Dozimoga

명사의 복수를 표현할 때에는 "As, Bis"의 형태로 나타냅니다. 이를테면 사람을 뜻하는 quorsin의 경우, 사람들은 "quorsinis"이고, natio는 natios, satanä는 satanäs입니다.

단 예외적으로 철학자를 뜻하는 단어 erasheniluin의 복수형은 erasheniluins입니다.

고유명사

Nam

자소크어에 있는 인명, 지명, 외래어 등을 포함한 고유명사들은 고유명사 표시자 y를 단어 앞에 써서 나타냅니다. Y는 /이/라고 읽습니다.

이를테면 그냥 "scie"는 "미치다"를 의미하는데, "y scie"는 "스치"를 의미하는 식입니다. 같은 방식으로 "vlazif"는 문제, "y vlazif"는 "블라지프"를 의미합니다.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y와 단어 사이 띄어쓰기 대신에 작은따옴표를 표기하여, y를 읽을 때에는 반모음 [j] 〈y〉[14]로 읽습니다.

예를 들어서 고유명사인 atrüsnie와 asus는 y'atrüsnie, y'asus라고 표기하고 읽습니다.

특히 외래어 고유명사는 표기와 읽는 방법이 다를 때가 있는데, 단어의 읽는 방법을 표기한 경우에는 y 뒤에 있는 단어의 첫글자를 소문자로 표기하고, 단어의 원래 언어 표기법을 표기한 경우에는 뒷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서 y'amērika와 y'America 둘 다 /야메:리카/라고 읽고 "미국"을 의미합니다. 같은 방식으로 y doic와 y Deutsch, y scie와 y Sch는 각각 독일, 스치를 의미합니다. "한국"과 같이 원래 언어 표기에서 로마자를 사용하지 않는 단어의 경우 y'hanguque와 같이 발음 표기만을 사용하거나 "y 한국"과 같이 해당 언어의 표기를 빌려서 사용하지만 권장되지 않습니다.

단 y를 사용할 때에 한 가지 예외가 있는데, Zasoque는 고유명사 원어 표기이기 때문에 첫 글자를 대문자로 씀에도 불구하고 y를 붙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소크를 나타낼 때에는 y Zasoque가 아니라 Zasoque라고 해야 합니다.

자소크 단어 dé는 /데/라고 읽으며, é와 반대로, 뒤쪽에 있는 단어를 관형사로 만들어 앞쪽의 단어를 수식하게 합니다. Dé를 사용해 나타낸 서술은 é를 사용해 나타낸 명사구와 의미적인 차이는 없으나, 수식을 받는 대상을 더욱 강조한다는 느낌을 줍니다.

예를 들어서 fontlanéfudie는 "맛있는 음식"이라는 뜻인 데에 반해, "fudie dé fontlan"은 "맛있는 '음식'"이라고 하여, 음식이 맛있는 상태에 있음이 아니라 그것이 음식임을 더욱 강조하게 됩니다. 또한 sionédia는 "예쁜 그림"이라는 뜻인 데에 반해, "dia dé sion"은 "예쁜 '그림'"이라고 하여, 그림이 예쁜 상태에 있음이 아니라 그것이 그림임을 더욱 강조하게 됩니다. 자소크 철학단의 이름도 dé를 사용하여 "Erasheniluins dé Zasoque"로 나타냅니다. Zasoquêrasheniluins와 의미상으로는 같은 뜻이지만 어감에 차이가 있습니다.

Dé 뒤의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dé를 "d'-"로 줄일 수 있고, 이것을 발음에도 반영합니다. 따라서 "insürta dé erasheinluin"은 "insürta d'erasheniluin"이라고 합니다.

Dé 뒤의 단어가 고유명사 표시자 y인 경우, dé와 y를 합쳐서 die라고 쓰고 읽습니다. 따라서 "livialofafashas dé y Zaägosh"는 "livialofafashas die Zaägosh"라고 합니다.

Ùll

Ùll

자소크어에는 ~해서, ~하기 때문에, ~하여, ~하고 등의 의미를 가지는 어미 "-ùll"가 있습니다. "-ùll"는 시제와 함께 쓰이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naput는 naputùll, liviat는 liviatùll, fsalisùque는 fsalisùqûll라고 합니다.

"Miros hisínsürtal narisùll hirol parè." (나는 그 사실을 알았기 때문에 그 사람을 자랑했다.)

조사

Hoúyúrgo

자소크어는 한국어나 일본어와 같이, 은/는, 이/가 등의 조사를 사용해서 단어의 격을 나타냅니다.

자소크어에는 기본적으로 17가지의 조사가 있습니다. 각각은 lo, da, as, u, svo, tou, degro, samie, kaim, gie, gifas, spo, tho, svofas, tia, é, roú입니다. 조사는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이므로 외우고 있으면 쓸 데가 많습니다.

조사와 조사가 아닌 단어가 함께 만나서 음운축약 현상이 일어났을 때, 이를 조사의 표기에 반영합니다. 예를 들어 "Yíc lo oh ätè."에서 "lo oh" 부분은 o가 중복되므로 조사에 있는 o를 생략하여 "l'oh"로 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Yíc l'oh ätè."라고 쓰고 읽습니다. 마찬가지로 "Vesh samie opor roú paradicòme." 역시 "vesh samie", "opor roú"에서 발음이 "vesh 'amie", "opor 'oú"로 축약되므로 이것을 표기에 반영하여 "Vesh 'amie opor 'oú paradicòme."라고 쓰고 읽습니다.

조사의 축약 표기는 발음나는 대로 적는 것이 원칙이므로 "Sat samie" → "Sa' samie"와 같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표기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발음에 따라서 다르게 표기되는 조사에 주의하도록 합니다.

Matikapota

자소크어의 수는 한국어, 일본어의 수 표기법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일, 십, 백, 천을 작은 단위로 사용하며, 만, 억, 조 등을 큰 단위로 사용합니다.

0부터 9까지는 순서대로 noh, y, lie, so, fa, il, ce, she, aie, fe입니다. 10, 100, 1000은 순서대로 dos, rod, mor로 표현하고, 만, 억, 조는 순서대로 gaie, naf, daf로 표현합니다.

이 수들을 이용해서 나타낸 수로는 dosy(11), lidos(20), lidoslie(22), ildos(50), ildosil(55), shedosil(75), aidosaie(88), fedos(90), fedosfe(99), sorodydosfa(314), sogaie-morilrodcedos(31,560), linaf-femorferodshedosfegaie-limorfarodildosaie(299,792,458) 등이 있습니다.

서수, 특히 "-번째의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수 뒤에 1-tia, 2-tia와 같이 -tia를 붙입니다. 또한, "-번째의"의 관형사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tia 대신 -tié를 사용합니다.

서술어 명사화

Zuryúrgénamyúrgovesh

서술어를 명사로 만들기 위해서는 -ìe 어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aic에 -ìe를 붙이면 taicìe, vudar에 -ìe를 붙이면 vudarìe가 되는 식입니다.

이것으로 와기제 자소크어의 기초 문법을 모두 숙지했습니다! 앞으로는 자소크어 문장을 직독직해해보겠습니다.

도보게

각주

  1. 2024년 11월 5일 10시 56분 35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7개 회사 전원
  3. 3.0 3.1 세멘티 왕국 설립과 동시에 탈퇴
  4.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5. 헤멜바르트 제국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
  6.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7.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8. 라크렐데사를 위시한 서북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사용
  9. 이러한 소리를 성문 파열음이라고 하고, 기호로는 [ʔ]와 같이 나타냅니다.
  10. [χ]
  11. [ʀ̥]
  12. 말을 듣다.
  13. 말하도록 하다.
  14. 반모음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