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각상운명태 노랑.svg

자소크 철학단 · 자소크어베르쿠암 · 재민 · 운론포터스 · 에빈카바스
지리 · 국기 · 전쟁 · 교육 · 국제관계
[ 역사 ]
+ 투타여르 데 자소크.svg
투타여르 데 자소크의 역사
Dise dé Tutaÿr dé Zasoque · Mazasorisicanoech de Tutayer de Zasoc
[ 0–5218년 ]
에비아 시대 - 자스호카 민족 리브렌스카 민족+
스텔리 시대 2년
리뉴 시대 565년
900년 경 자소크 문화
다시스 시대 2717년
2820년 9월 7일 자소크 국가연합 자소크 국가연합 결성
하키엘러시아 텔리아토스 치흐 헥타레시 에비타겐
2948년 5월 13일 우훗 제도 우훗 제도
크리산테 시대 3022년
3577년 2월 5일 하키엘러시아
와기제 시대 3996년
4008년 2월 5일 자소크 국가연합 자소크 국가연합 통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4156년 4월 11일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4164년 8월 15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UMG UMG UMG UMG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5104년 5월 8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맹세기사단 자소크 맹세기사단
5105년 5월 3일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5125년 8월 10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5218년 이후
[ 5218년–현재 ]
5218년 이전+
와기제 시대 이전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5218년 7월 2일 북 하키엘러시아 포터스공학 연맹 양 사시나 철학단 에비타겐-밀리아 왕국 북 자소크 평의회 아브렌시아 모닉쇼 공화국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
5299년 3월 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
북 하키엘러시아 임시정부 양 사시나 임시정부
5513년 7월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
5515년 3월 (멸망)
현재: 5939년 2월 14일[1]
[ 관련 틀 ]
+북메티샤조약기구.svg
북메티샤 조약기구
회원국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철학단
사흐러스탄 부족연맹 국기.png
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
아르토이트제국국기.svg
아르토이트 제국4927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노베몰마디아 공화국5019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공화국5278
모하지국기.svg
모하지 공화국 자소크 철학단플리오센 공화국5278
- -
참관국
AR 그룹.jpg
AR 그룹[2]
95국기.svg
구오
- -
탈퇴국
밀리토호스타코뤼국기.svg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세멘티 공국.jpeg
세멘티 공국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3]
세멘티네라크뤼스.jpeg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 아르토이트 제국4927[3]
크리상테스국기.svg
크리상치아 왕국5679[4]
+탄티스카환경협약체로고.svg
탄티스카 환경협약체
유제이체 국기.png
유제이체 공화국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공화국
셰스카테-001.png
셰스카테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노베몰마디아 공화국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철학단 소재 4개 주[7]
- - -
+복각상기.svg
자소크어를 사용하는 국가
[ 펼치기 · 접기 ]
행정 언어 및 일상어로 사용하는 국가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북사국통위로고.svg
북사국통위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몰마디아
셰스카테-001.png
셰스카테[8]
일부 지역에서 공식 국어로 인정하는 국가 다른 언어와 자소크어를
행정 언어로 병용하는 국가
모하지국기.svg
모하지
호락존안도국기.svg
호락존 안도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크러이세치스 국기.png
대기국[9]
갑인저항군기.png
미아다[10]
+ 탄티샤의 국가와 지역
사트.svg
동당뎅
북사국통위로고.svg
북사국통위
Larudan Flag.png
라루단
크러이세치스 국기.png
크러이세치스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 텐메이메디아의 국가와 지역
파일:Tasdia de sat.png다이와AR 에르뎀은 장성연맹구오 / 초월기계국가AR 세르네데AR 프레니처AR 프레니처AR 세요짐AR 일몰 제도 지사AR 일몰 제도 지사AR 오닉서커트AR 에르뎀AR 나지에셔트AR 베센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네라다 공민공화국셰헤카사 제도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자소크의 아마야스 주 정부가린다리 헌국쇠예흐 대제국도르나라세이안 왕국쟈헤나 섬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칼르신 공화국야마토-타코뤼 공동구역레프레누제의 툼라시니노 연방 공화국에카넥 왕국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에스라스타의 베하니아 항구 특별주일라스파니스티칼리바리프노이헤멜바르트 제국세멘티 공국아르토이트 제국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주남메디아 산업단지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아나키스트 코뮌 연방아나키스트 코뮌 연방베레테르니유 신성국주펠레마 산업단지디메르테스 자치령남토이트 기사단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주노데 왕국칼로이디아천도주아트리아 산업단지피니투라-페투치아-레조넌스 제국파룸뤼미에르무르무르섬아나이 공화국한카 교회국칸다리 천문대호락존 안도주아트레니스카 산업단지신네 란부세가오크랍토스앙둔 제국터트족자소크 철학단크리상테스 왕국자소크 철학단에비타겐-밀리아 왕국에비타겐-밀리아 왕국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아브렌시아아브렌시아북 자소크 평의회모닉쇼 공화국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라루단라루단주탄티샤 산업단지이룰 연방루시코와노베몰마디아 공화국유제이체 공화국그래그래 공화국레프레누제 연합대엔지 제국플리오센 공화국주레니스카 산업단지모하지 공화국신세이 왕국라졔르베라사떼 로요그리로아센셰스카테포투티칸 대제국테사시테스 자치령Tasdia de sat.png
네라다 공민공화국.jpeg
네라다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svg
야마토
아마야스주정부기.svg
아마야스 자소크 철학단
+ 서레니스카의 국가와 지역
파일:Tasdia de sat.png다이와AR 에르뎀은 장성연맹구오 / 초월기계국가AR 세르네데AR 프레니처AR 프레니처AR 세요짐AR 일몰 제도 지사AR 일몰 제도 지사AR 오닉서커트AR 에르뎀AR 나지에셔트AR 베센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네라다 공민공화국셰헤카사 제도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자소크의 아마야스 주 정부가린다리 헌국쇠예흐 대제국도르나라세이안 왕국쟈헤나 섬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칼르신 공화국야마토-타코뤼 공동구역레프레누제의 툼라시니노 연방 공화국에카넥 왕국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에스라스타의 베하니아 항구 특별주일라스파니스티칼리바리프노이헤멜바르트 제국세멘티 공국아르토이트 제국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주남메디아 산업단지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아나키스트 코뮌 연방아나키스트 코뮌 연방베레테르니유 신성국주펠레마 산업단지디메르테스 자치령남토이트 기사단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주노데 왕국칼로이디아천도주아트리아 산업단지피니투라-페투치아-레조넌스 제국파룸뤼미에르무르무르섬아나이 공화국한카 교회국칸다리 천문대호락존 안도주아트레니스카 산업단지신네 란부세가오크랍토스앙둔 제국터트족자소크 철학단크리상테스 왕국자소크 철학단에비타겐-밀리아 왕국에비타겐-밀리아 왕국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아브렌시아아브렌시아북 자소크 평의회모닉쇼 공화국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라루단라루단주탄티샤 산업단지이룰 연방루시코와노베몰마디아 공화국유제이체 공화국그래그래 공화국레프레누제 연합대엔지 제국플리오센 공화국주레니스카 산업단지모하지 공화국신세이 왕국라졔르베라사떼 로요그리로아센셰스카테포투티칸 대제국테사시테스 자치령Tasdia de sat.png
카마르 헌국.png
카마르
제리드발로타 국기.png
제리드발로타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노베몰마디아
사틸튼퇴 자유시 국기.svg
사틸튼퇴
FlagOfNixe.jpeg
닉세
셰스카테-001.png
셰스카테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Rusikowa.png
루시코와
Rang.png
랑서국
신세이.png
신세이
모하지국기.svg
모하지 플리오센 공화국 자소크 철학단


재민자소크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다. 16개의 자음과 7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고, 1개의 특수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유형적으로는 알파벳에 속하며, 일부 학계에서는 자질성을 갖추고 있다고 하는 사람도 있으나 극히 드물다.

라틴 문자 재민 종류 이름 소리+
대문자 소문자 대문자 소문자 한국어 자소크어
G g 자음 ga /g/
N n 자음 na /n/
M m 자음 ma /m/
S s 자음 sa /s/
D d 자음 da /d/
V v 자음 va /β/
Z z 자음 za /z/
L l 자음 la /l/
X x 자음 exa /ʃ/
K k 자음 ka /k/
Q q 자음 카 사미 우[11] qua-samie-ue /kʰ/
T t 자음 ta /tʰ/
P p 자음 pa /p/
C c 자음 ca /t͡ʃ/, /ȶ/
H h 자음 아하 aha /ʔ/, /χ/, /ç/
R r 자음 ra /ɾ~r/
F f 자음 fa /f/
A a 모음 a /ä/
Y y 모음 y /ʌ/
O o 모음 o /o/
U u 모음 ue /u/
I i 모음 ie /ɪ/
J j 자음 ja /j/, /i/
E e 모음 e /e̞/
언어 명칭+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J Zemin, Zasoquaravîta
디누단마 퍈프소븜 stini zemin
앙둔 제국 헤이어 Jemin, Jasroqryukag(국내표준)
Dzevin, Dzasohkthucang(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재민
영국 영어 Zemin
안드로 안드로어 woals
메다 메다어 lrids

역사

재민은 자소크력 2년 최초의 자소크어 기록에서부터 나타난다. 현재 알려져있는 최초의 재민은 카라스바 동굴 벽에 있는 암각화에 새겨진 글이며, 이는 오른쪽 벽을 따라 글이 우종서로 전개된다. 당시에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임을 나타내는 글자가 있었으며, 모음이 없는 음절임을 나타내는 글자도 있었다.

스텔리재민.png

과학자들은 1421년 즈음에 자소크에서 종이를 사용하기 시작했을 것이라고 본다. 종이가 발명됨에 따라 글의 방향은 우종서에서 좌횡서로 변화하게 되었으며,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임을 나타내는 글자와 모음이 없는 음절임을 나타내는 글자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고 알려져있다.

리뉴재민.png

또한 3695년 즈음부터 필기체 재민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예측한다. 당시 /s/와 /ʃ/, /ɾ/와 /f/를 나타내는 글자는 현재와 다르게 생겼으며, 이 문자들이 현재와 같은 자형을 가지게 된 것은 50세기-51세기 즈음이다.

크리산테재민.png

4576년에 와기제 리 시대가 시작되면서 대문자와 삼점(á)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또한 4887년에는 자소크 철학단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절의문자를 폐지하면서 절의문자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와기제재민.png

5315년, 티펠라트리아 국가평의회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새로운 필체를 개발하여 보급하였다. 아나이 공화국의 영향으로 신성문자 느낌이 도드라지는 편으로서, 마치 붓으로 쓴 듯한 형태가 특징이다.

티펠라트리아재민.png

사포타

사포타 1에는 재민(U+E000-U+E0FF)영역에 등록되어있다.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U+E00x
U+E01x
U+E02x
U+E03x
U+E04x
U+E05x
U+E06x
U+E07x
U+E08x
U+E09x
U+E0Ax
U+E0Bx

각주

  1. 2025년 5월 6일 03시 36분 15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7개 회사 전원
  3. 3.0 3.1 세멘티 왕국 설립과 동시에 탈퇴
  4. 크리상치아 내전으로 멸망
  5.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6. 헤멜바르트 제국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
  7.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8.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9. 종교 및 외교 분야에서 사용하며,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와기제 리 자소크어이다.
  10.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갑인 자소크어이다.
  11. Q는 언제나 u와 함께 쓰이며, 재민 표기법에서는 qu를 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