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자소크 철학단 · 자소크어와 베르쿠암 · 재민 · 운론과 포터스 · 에빈카바스 | ||||||||||||||||||||||||||||||||||||||||||||||||||||||||||||||||||||||||||||||||||||||||||||||||||||||||||||||||||||||||||||||||||||||||||||||||||||||||||||||||||||||||||||||||||||||||||||||||||||
지리 · 국기 · 전쟁 · 교육 · 국제관계 | ||||||||||||||||||||||||||||||||||||||||||||||||||||||||||||||||||||||||||||||||||||||||||||||||||||||||||||||||||||||||||||||||||||||||||||||||||||||||||||||||||||||||||||||||||||||||||||||||||||
[ 역사 ]
|
이 문서는 자소크어의 문법서 겸 표준으로, 자소크어로 작문을 하거나 쓰여져 있는 문장을 읽을 때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문자
복사용 | |
---|---|
알파벳 | ACDEFGHIJKLMNOPQRSTUVXYZ |
acdefghijklmnopqrstuvxyz | |
다이어크리틱 | ÁÀÄÂÇÉÈËÊÍÌÏÎÓÒÖÔØÚÙÜÛÝŸŶ |
áàäâçéèëêíìïîóòöôøúùüûýÿŷ | |
확장 문자 | ÃĀẼĒĨĪÕŌŦŨŪỸȲỲ |
ãāẽēĩīõōŧũūỹȳỳ |
기본 문자
자소크어는 라틴 문자 표기법, 재민 표기법으로 총 2개의 표기법을 가지고 있다. 이 문서에서는 라틴 문자 표기법만을 사용하여 서술한다.
라틴 문자 | 재민 | 종류 | 이름 | 소리+ | |||
---|---|---|---|---|---|---|---|
대문자 | 소문자 | 대문자 | 소문자 | 한국어 | 자소크어 | ||
G | g | | | 자음 | 가 | ga | /g/ |
N | n | | | 자음 | 나 | na | /n/ |
M | m | | | 자음 | 마 | ma | /m/ |
S | s | | | 자음 | 사 | sa | /s/ |
D | d | | | 자음 | 다 | da | /d/ |
V | v | | | 자음 | 바 | va | /β/ |
Z | z | | | 자음 | 자 | za | /z/ |
L | l | | | 자음 | 라 | la | /l/ |
X | x | | | 자음 | 샤 | exa | /ʃ/ |
K | k | | | 자음 | 카 | ka | /k/ |
Q | q | | | 자음 | 카 사미 우[9] | qua-samie-ue | /kʰ/ |
T | t | | | 자음 | 타 | ta | /tʰ/ |
P | p | | | 자음 | 파 | pa | /p/ |
C | c | | | 자음 | 차 | ca | /t͡ʃ/, /ȶ/ |
H | h | | | 자음 | 아하 | aha | /ʔ/, /χ/, /ç/ |
R | r | | | 자음 | 라 | ra | /ɾ~r/ |
F | f | | | 자음 | 파 | fa | /f/ |
A | a | | | 모음 | 아 | a | /ä/ |
Y | y | | | 모음 | 어 | y | /ʌ/ |
O | o | | | 모음 | 오 | o | /o/ |
U | u | | | 모음 | 우 | ue | /u/ |
I | i | | | 모음 | 이 | ie | /ɪ/ |
J | j | | | 자음 | 야 | ja | /j/, /i/ |
E | e | | | 모음 | 에 | e | /e̞/ |
다이어크리틱이 붙은 문자
세디유와 스트로크
표기 | 읽는 방법 |
---|---|
Ç | /t͡s/ |
Ø | /ø/, /œ/ |
양음 부호 (á, Virogatiskie)
표기 | 읽는 방법 |
---|---|
Á | /iʝa/ |
É | /e/ |
Í | /iʝi/ |
Ó | /iʝo/ |
Ú | /iʝu/ |
Ý | /iʝʌ/ |
양음 부호는 é와 관련된 글자이다.
억음 부호 (à, Sagoritiskie)
억음 부호는 A, E, I, O, U에 붙으며, 읽는 방법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어미의 경계에서 사용된다.
트레마 (ä, Lizünytiskie)
표기 | 읽는 방법 |
---|---|
Ä | /ja/ |
Ë | /je/ |
Ï | /ji/ |
Ö | /jo/ |
Ü | /ju/ |
Ÿ | /jʌ/ |
곡절 부호 (â, Asmotiskie)
표기 | 읽는 방법 |
---|---|
 | /aː/ |
Ê | /eː/ |
Î | /iː/ |
Ô | /oː/ |
Û | /uː/ |
Ŷ | /ʌː/ |
곡절 부호는 여러개의 문자를 한 문자로 축약했음을 나타낸다.
특수 다이어크리틱
장음 부호(ā)는 단어 독법의 강세를 나타낼 때에 사용한다.
- Anīska. /n̩.niːs.ka/
틸다(ã)는 모음의 비모음화를 나타낼 때에 사용한다.
- Krisãtes. /kʀi.sã.tes/
문장 부호
마침표 (.
)
마침표는 문장의 종결을 의미한다. 보통 앞에는 단어를 붙이고 뒤에는 띄어쓰기를 하여 나타낸다.
- Miros Quorsin. 나는 사람이다.
실수를 나타낼 때에 1의 자리 아래의 수를 나타낼 때에도 마침표를 사용한다.
- 1.1 oh 1.2 anroid 2.3. 1.1 더하기 1.2는 2.3이다.
쉼표 (,
)
쉼표는 문장의 휴지를 의미한다.
도치가 일어났음을 나타낼 때에 사용한다.
- Miros orüdè, Hanü'lo. 나는 먹었다, 밥을.
천의 자리 이상을 포함하는 실수를 나타낼 때에, 세 자릿수마다 자릿수를 표기하는 문자로 쉼표를 사용한다.
- 10,000 Leséquorsin. 10,000명의 사람.
느낌표 (!
)
느낌표는 문장에 더욱 감정을 실어 이야기하여 문장이 의미하는 바가 강력하거나, 감탄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등의 경우에 사용한다.
- A! Naritempè! 아! 알아냈다!
물음표 (?
)
물음표는 문장을 통해 의문을 제기함을 의미한다.
- Sorisic u ät l'orüdè a? 어제 뭐 먹었어?
콜론 (:
)
콜론은 문장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가 그 다음에 나타난 내용임을 의미한다. 콜론 뒤에는 주로 병렬로 이어진 문장 성분들이나 인용문, 감탄사 등이 온다.
- Miros ä Potal daiaè: «Difaxas u modilàhom.» 나는 그 글을 읽었다. "이곳에 들어가지 마시오."
행동의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에 쉼표보다 더욱 강력한 휴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활용된다.
- Hiro d'ä Vruma u modilè Ézozaque: ä Vruma u iksùm Équorsi'lo vizaxè. 그가 방에 들어간 순간, 방에 있는 사람을 보았다.
세미콜론 (;
)
대등한 문장 성분을 병렬로 연결하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 Mòinosè lo Vesin; Anana. 나는 사과, 파인애플을 샀다.
기메 («
, »
)
기메는 '«'와 '»'가 쌍으로 쓰이며, 해당 부호 안의 내용이 인용되었거나 강조됨을 의미한다.
- Miros «Disas ät?!» touavidiè. 나는 "이게 뭐야?!"라고 말해버렸다.
- Miros «Hisínsürta» l'aripreposiksè. 나는 "그 사실"을 알고 있었다.
홑기메 (‹
, ›
)
홑기메는 '‹'와 '›'가 쌍으로 쓰이며, 의성어나 의태어, 생각, 감탄사 강조 등을 의미한다.
- Niros ‹A!› tou ä Linfos lo nariprepotempàse. 너는 '앗!'하고 그 정보를 기억해냈다.
엠 대시 (―
)
엠 대시는 하나의 문단 전체가, 혹은 이 뒤의 부분이 인용문임을 나타낸다. 엠 대시가 문장 내에서 사용되었을 때에는 대체로 그 뒤에 엠 대시가 서술하는 부분을 이탤릭체로 나타낸다.
- Miros
– Ät 'iosìç Ésie a?
touatè. 나는 "뭐 하는 거야?"라고 말했다.
- Miros – Ät 'iosìç Ésie a? touatè.
나는 "뭐 하는 거야?"라고 말했다.
다이어크리틱 대체 표기
다이어크리틱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양음 부호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양음 부호가 사용된 모음 앞에 e를 붙여서 나타낸다. 단, é의 경우 앞에 e를 적지 않는다.
- Mirálon > Mirealon
- Daxésie > Daxesie
억음 부호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억음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 Lofanùll komè. > Lofanull kome.
트레마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트레마가 사용되는 문자 앞에 j를 붙여서 나타낸다.
- Insürta > Insjurta
곡절 부호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같은 문자를 2번 사용하거나, 만약 축약에 의한 것이라면 원형을 밝혀 사용한다.
- Îgin > Iigin, Aravîta > Araviita
- Vizaxùqûm > Vizaxuquum, Mòdiosêsie > Modioseesie
- Tia Îginis da zeh màzipùtum Ínsürtas, > Tia Iiginis da zeh maziputum Einsjurtas,
특수 발음 조합
잔음
같은 자음이 어말에서 2번 등장하는 경우, 자음을 잔음(殘音)으로 나타낸다.
잔음이란, 프랑스어 어말의 -e, 러시아어 어말의 -ь가 소리내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한다. 자소크어에서의 잔음은 짧은 `으` 소리로 실현되며, 잔음 뒤에 자음이 이어지는 경우에는 `e`와 같이 소리나기도 한다.
기타
어중의 'tn'은 어두의 'nn'과 같이 읽는다.
- Exitnatanie. /ʃin.na.ta.ni/
'Fv'는 'f'와 같이 읽는다.
- J Krifvizax /i kʀi.fi.zaʃ/
'Tl'은 [t͡ɬ]로 읽는다.
- Atlad /a.t͡ɬad/
- Fontlan /fon.t͡ɬan/
'Dn'은 [dⁿ]으로 읽는다.
- Adna /ˈa.dⁿˌa/
R이 다른 자음 다음에 오면 [ʁ] 또는 [ʀ]로 읽는다.
- Vaisausentrah /βaɪs.ˈau.sen.ˌtʀaχ/
- utra /ˈu.tˌʀä/
- Dravias /dˈʁaː.βɪˌas/
어두의 'co'에서 c는 /ȶ/로 읽는다.
- Codih /ˈȶo.ˌdɪç/
어두가 강세가 없는 모음 + 비음인 경우, 모음과 비음이 비음에 대한 잔음으로 바뀐다.
- Aniska /n̩.nis.ka/
- Ammiras /m̩.miː.ras/
어말의 'ih'에서 h는 /ç/로 읽는다.
- Codih /ˈȶo.ˌdɪç/
어말의 y는 읽지 않는다. 단, 어말에 y가 오는 단어에 조사 등이 결합되어 y 뒤에 자음이 나타난 경우에는 읽는다.
- Higary /ˈʔi.gaːɾ/
- Higarys /ˈʔi.ga.ɾʌːs/
'Ü'의 다음에 오는 'r'은 [l]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한다.
- Dürzia /djuːl.zia/
체언
두문자 대문자화 규칙
명사는 대문자로 쓰되, 대명사와 의존명사는 소문자로 쓴다.
대명사 | miro, mira, niro, nira, hiro, hira, siro, sira, dozozaque, dofaxas, ät, has |
---|
복수(復數)
체언은 복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체언에 대해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i)s를 붙여 복수형을 나타낸다.
수(數)
수는 가수부와 지수부로 나누어져 수를 나타낸다. 이때 가수부란 수의 유효숫자들을 이르며, 지수부란 수의 지수적 크기를 이른다. 예를 들어, 19,800은 가수부가 198이고 지수부가 2인 수이다. 이때 지수부는 수 뒤에 붙는 0의 개수로 계산한다.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
가수 | noh | j | lie | so | fa | il | çe | exe | aie | fe |
지수 | ain | ko, dos[10][11] | ges | ül | rolas | tiles | saill | sele | fieles | fauças |
역지수 | nia | oque | seg | lü | salor | selit | lias | eles | seleif | saçuaf |
198의 경우에는 지수부가 0이므로 가수만으로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Jfeaie, 즉 Jfäie가 된다. 가수를 합친 단어에 있는 ea는 ä로 쓰고 발음한다. 19,800의 경우에는 지수부가 2이므로 가수 Jfäie 뒤에 ges를 붙여 Jfäiges가 된다.
198,020과 같은 경우에는 또는 의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간단히 Jfäinohlieko라고 하면 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198,000과 20을 각각 ad로 연결하여 Jfäiüladliko라고 한다. Jfäinohlieko와 Jfäiüladliko 둘 다 198,020을 나타내는 수가 된다.
만약 지수부에 10을 넘어가는 수를 표현해야 하는 경우에는 가수부 표현 방식과 마찬가지로 koain, kodos와 같이 표현한다.
소수점 표현
소수점을 읽어야 할 때에, vos라고 읽는다.
서수
서수는 수 뒤에 té-를 따라 써 속격으로 활용하고, tia를 따라 써 대명사(수사)로 활용한다.
개수
단위 표현은 (단위) roy (개수) les É(물건), 또는 (수) lesé(단위)로 표현한다.
- Exutie roy 3 les Épamp. 빵 세 덩어리.
- 40 Lesékilometer. 40 킬로미터.
합성어 생성 규칙
합성어는 명사 2개를 병렬로 써서 만든다. 예를 들어, 'Insürta'와 'Vaisausentrah'를 합쳐 'Insürtavaisausentrah'를 만들 수 있다.
합성어에서 앞말의 어말과 뒷말의 어두가 둘 다 모음이고 서로 다른 경우, 모음군의 마지막 글자로 표기하고 발음한다
- Natio + Açentem > Natiaçentem.
- Insürta + Atrüsnie > Insürtâtrüsnie.
합성어의 뒷부분의 시작부분에서 묵음으로 소리나는 'h'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 Açentem + Hoire > Açentemoire.
- Farum + Hinoc > Faruminoc.
앞말의 어말과 뒷말의 어두가 모두 자음일 경우, 뒷말의 어두만을 채택한다.
- Aikif + Fudie > Aikifudie.
단, 앞말의 어말이 유음이거나 비음일 경우 모두 채택한다.
- Lofan + Faxas > Lofanfaxas.
단, 앞말의 어말이 비음, 유음, 마찰음이고, 앞말의 어말과 뒷말의 어두가 같거나 비슷한 조음위치를 가진 자음이라면 뒷말의 어두를 각각 비음화, 유음화, 마찰음화한다. 이때 유무성음 중에서는 유성음을 채택한다.
- Vex + Spika > Vexpika
- Krif + Vizax > Krifizax.
- Dot + Zozaque > Doçozaque.
- Karop + Maque > Karommaque.
어미(語尾)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의 경우에는, 단어 자체에는 어미 표시를 유지하되, 해당 단어를 활용하여 합성어를 만들 때에는 어미 표시를 없앤다.
- Goh + Draviàs > Godravias.
- Eçy + Lofanùque > Eçylofanuque.
고유명사와 일반명사의 경우에는 합성어를 만들지 않고 é나 dé 등으로 연결하여 명사구를 만들어 활용한다.
명사구
é를 활용한 명사구
한 단어와 한 단어를 이어 명사구를 만드는 경우 é를 앞 뒤 단어에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때, 앞 단어의 마지막이 모음으로 끝난다면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음을 모두 없애고 é를 붙이고 읽는다. 이때 한 단어가 된 명사구의 중삼 의미가 일반명사라면 단어의 두문자를 대문자로 표현한다.
- 대명사 miro + 명사 Sie > Mirésie.
- 형용사 fontlan + 명사 Fudie > Fontlanéfudie.
- 명사 Ocal + 명사 Gepo > Ocalégepo.
단, 뒷말이 모음으로 시작한다면 É와 해당 모음을 결합하여 양음 부호를 사용해 나타낸다.
- insürta + Alon > Insürtálon.
단, 뒷말이 e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양음 부호가 아니라 곡절 부호를 사용해 나타낸다.
- sulah + Eva > Sulahêva.
é의 영향을 받는 범위가 한 단어를 넘어간다면 해당 방향의 단어와 띄어쓴다.
- sion ad riçie é Ziroque ad Lofanasin = (sion ad riçie) é (ziroque ad lofanasin)
- sion ad riçé Ziroque ad Lofanasin = sion ad (riçie é ziroque ad lofanasin)
- sion ad riçie Éziroque ad Lofanasin = (sion ad riçie é ziroque) ad lofanasin
- sion ad Riçéziroque ad Lofanasin = sion ad (riçie é ziroque) ad lofanasin
- Hanür l'orüdè Équorsin. 밥을 먹은 사람.
é가 J와 결합되는 경우 éie로 쓴다.
- Riçie é J Chrisancthes > Riçéie Chrisancthes.
é가 J'-와 결합되는 경우 éj'-로 쓴다.
- Sulah é J'Hakielysia > Sulahéj'Hakielysia.
dé를 활용한 명사구
dé는 é와 순서가 반대로 되어있는 속격을 만든다. dé는 띄어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Fudie dé fontlan. < Fontlanéfudie.
dé의 뒷말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dé를 d'-로 축약할 수 있다.
- Exolef d'Alon. < Alonéxolef.
dé가 J와 결합되는 경우 die로 쓴다.
- Tainatio die Chrisancthes.
dé가 J'-와 결합되는 경우 d"-로 쓴다.
- Taiquorsinatio d"Anaie.
né를 활용한 명사구
né는 é와 같은 순서로 두 단어를 잇는다. 이때 né는 두 단어의 앞에 위치한다.
- Némiro Ziroque < Miréziroque.
고유명사
고유명사는 고유명사 표시 관사 J를 따라서 나타낸다.
- J Extelo. 스텔로.
- J Nihon. 니혼(일본).
- J Chrisancthés. 크리상치아.
만약 고유명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J를 J'-로 축약한다.
- J'Enzie. 엔지.
고유명사로 나타낼 때에는 라틴 문자 표기의 원본을 밝혀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J France. 프랑스.
- J English. 영어.
고유명사에 조사를 붙여 활용할 경우에는 자소크어 단어의 정서법을 따르고, 발음은 고유명사 단어를 자소크어로 치고 발음한 것으로 한다.
- J Francas Natio. /i fʁɑ̃.sas na.tiːo/ 프랑스는 나라이다.
- J Gustévizaxuqûat. /i gus.te.βi.za.ʃu.kwat/ 구스토(Gusteau)의 유명한 말.
서술어
어미가 동사 뒤에 붙어 동사의 형태론적 변화를 일으킨다.
어미가 사용된 서술어에서 어근과 어미가 구분되는 부분에는 억음 부호(`)를 표시하여 어미와 어근의 경계를 나타낸다.
- dios + -ut + -e > diosùte.
시제
시제 | 실현 방법 | 양상 | 의미 | 행간 주석 |
---|---|---|---|---|
대과거 | -ea | diosèa | 하곤 했다. 했었다. | HIST |
과거 | -e | diosè | 했다. | PST |
현재 | -iç | diosìç | 하고 있다. | PRS.PROG |
일반 | -um | diosùm | 한다. | PRS |
미래 | -ad | diosàd | 할 것이다. 하겠다. | FUT |
현재 시제 -iç는 현재 진행상으로도 사용된다. #상 참고
태
태(態)는 서술어에서 의미하는 행동에 대한 행위 주체들의 관계를 설명하는 문법이다.
태 | 실현 방법 | 양상 | 의미 | 행간 주석 |
---|---|---|---|---|
사동태 | -as | diosàs | 시키다. | CAUS |
피동태 | -uque | diosùque | 당하다. | PASS |
형
형(形)은 서술어에 가능, 욕구, 필요 등의 부가적인 의미를 추가해주는 역할을 한다.
형 | 실현 방법 | 양상 | 의미 | 행간 주석 |
---|---|---|---|---|
가능형 | -ut | diosùt | 할 수 있다. | POSB |
필요형 | -un | diosùn | 해야 한다. | NEC |
욕구형 | -ud | diosùd | 하고 싶다. | DES |
형을 적용한 서술어는 형용사로 활용할 수 있다.
부정
부정(否定)은 동사의 의미를 행위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지 않다” 또는 “안 -하다” 등으로 번역된다.
부정 | 실현 방법 | 양상 | 의미 | 행간 주석 |
---|---|---|---|---|
부정 | -ah | diosàh | 하지 않는다. 안 하다. | NEG |
부정 어미는 시제 앞에서 실현되고, 태와 형과 같은 위치에서 실현될 수 있다. 부정 어미의 위치에 따라서 동사의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 Uatùtahum. 말할 수 없다.
- Uatàhutum. 말하지 않을 수 있다.
법
법(法)이란 이 서술어를 통해 나타내고 싶은 문장의 의미적 역할을 나타낸다.
법 | 실현 방법 | 양상 | 의미 | 행간 주석 |
---|---|---|---|---|
가정법 | -usua | diosùsua | 하면. | SJV |
명령법 | -om | diosòm | 해라. | IMP |
청유법 | -ome | diosòme | 하자. 하십시오. 합시다. | SUBJUNCT |
양보법 | -ala | diosàla | 했더니. | RES |
과정법 | -ull | diosùll | 해서. 하여. | |
가정반전법 | -usuia | diosùsuia | 하였지만. 했음에도 불구하고. 할 지라도. | CONC |
반전법 | -ia | diosìa | 하면. 하지만. | REV |
역시법 | -aro | diosàro | 하거나. | |
확신법 | -z | 아래 참조 | 한다. 하겠다. 할 것이다. | ASSUM |
법은 보통 시제와 같이 쓰이지 않지만, 필요한 경우 시제 뒤에 이어올 수 있다.
확신법은 언제나 시제와 함께 쓰이며, 다음과 같이 활용한다.
시제 | 실현 방법 | 양상 | 의미 |
---|---|---|---|
대과거 | -eaz | diosèaz | 했었을 것이다. |
과거 | -ez | diosèz | 했을 것이다. |
현재 | -iz | diosìz | 하고 있을 것이다. |
일반 | -uz | diosùz | 할 것이다. |
미래 | -az | diosàz | 할 것이다. 할 것이겠다. |
상
상(狀)은 시간에 따라서 동사가 의미하는 행위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해왔다’, ‘하고 있다’ 등이 상을 포함한 서술어에 속한다. 한국어의 보조 용언과 같은 의미를 수행한다.
상은 어근에 합성어를 사용하여 의미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낸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상은 어미를 통한 형태적 변화가 아니기 때문에 억음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지 않는다.
자주 사용되는 상은 다음과 같다.
실현 방법 | 양상 | 의미 |
---|---|---|
-iks | diosiks | 하고 있다 |
-kom | diokom | 해 오다 |
-vist | diovist | 해 주다 |
-prepos | dioprepos | 해 두다 |
진행상 -iks의 경우 현재시제 -iç로 대체할 수 있다. 단, 일반시제와 현재시제의 경우 -iç 뒤에 시제를 또 적지 않는다. 즉, 다음 표와 같이 활용한다.
시제 | -iks 진행상 | -iç 진행상 | 의미 |
---|---|---|---|
대과거 | diosiksèa | diosìçea | 하고 있곤 했었다. 하고 있었었다. |
과거 | diosiksè | diosìçe | 하고 있었다. |
현재 | diosiksùm | diosìç | 하고 있다. |
미래 | diosiksàd | diosìçad | 하고 있을 것이다. |
주어의 인칭
자소크어에는 인칭에 따라서 동사가 변화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이를 표기할 수도 있다.
인칭 | 단수 | 복수 |
---|---|---|
1인칭 | mo- | ma- |
2인칭 | no- | na- |
3인칭 | ho- | ha- |
부정칭 | so- | sa- |
- no- + suquer + -ut + -um > Nòsuquerùtum. 당신은 춤을 출 수 있습니다.
목적어의 인칭
목적어의 인칭과 수에 따른 동사 변화도 나타낼 수 있다.
인칭 | 수 | 대과거 | 과거 | 현재 | 일반 | 미래 |
---|---|---|---|---|---|---|
1인칭 | 단수 | -eamo | -emo | -imo | -umo | -amo |
복수 | -eama | -ema | -ima | -uma | -ama | |
2인칭 | 단수 | -eano | -eno | -ino | -uno | -ano |
복수 | -eana | -ena | -ina | -una | -ana | |
3인칭 | 단수 | -eaho | -eho | -iho | -uho | -aho |
복수 | -eaha | -eha | -iha | -uha | -aha | |
부정칭 | 단수 | -easo | -eso | -iso | -uso | -aso |
복수 | -easa | -esa | -isa | -usa | -asa |
- mo- + suquer + -as + -ut + -uno > Mòsuqueràsutuno. 나는 당신을 춤추게 할 수 있습니다.
종조사
문장의 마지막이나 서술어의 뒤에 e, a를 붙여서 문장의 어기(語氣)를 형성하는 것을 종조사(終助詞)라고 한다.
자소크어의 종조사에는 e와 a가 있으며, 각각은 다음과 같은 어기를 형성한다.
종조사 | 어기 |
---|---|
a | 질문, 체념 |
e | 혼잣말, 놀라움 |
ea | 질타, 물음감탄 |
종조사는 서술어 바로 뒤에서 사용하거나, 문장 마지막에서 사용할 수 있다.
- Nòsuquerùm a u Difaxas? 네가 이 장소에서 춤을 추니?
- Nòsuquerùm u Difaxas a? 네가 이 장소에서 춤을 추니?
다음은 종조사를 활용한 문장의 예시이다.
- Nòdiosè a? 네가 했어?
- Hòpotaùm e. 저 사람이 쓰는구나.
- Hòdiosìç ea! 그 사람이 하고 있잖아!
종조사는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며, 문어체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질문
자소크어에서 질문은 종조사를 통해 실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종조사 ‘a’를 활용하여 평문을 질문으로 만들 수 있다.
- Miros orüdùm. 나는 먹는다.
- Niros orüdùm a? 당신은 먹나요?
하지만 말 끝을 올려 질문의 어기를 형성해주는 것만 한다면 굳이 종조사를 사용하지 않아도 질문으로 사용할 수 있다.
- Niro d'orüdìç? 당신이 먹고 있나요?
어미를 통한 명사화와 부사화
어근에 -ie, -uie를 붙여 명사화, 부사화할 수 있다. 명사화를 할 때에는 "-한 정도", "-함" 등의 의미로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부사화를 할 때에는 "-하게"와 같이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은 -ìe를 활용한 명사화의 예시이다.
- vudar 빠르다 > Vudarìe 속도, 빠르기
- taic 높다 > Taicìe 높이
- sulah 크다 > Sulahìe 크기
다음은 -ùie를 활용한 부사화의 예시이다.
- vudar 빠르다, vudarùie > 빠르게
- taic 높다, taicùie > 높게
- sulah 크다, sulahùie > 크게
격
자소크어는 조사를 사용하여 체언의 격을 나타낸다.
조사는 체언이 서술어 왼쪽에 있을 때에는 체언의 오른쪽에, 체언이 서술어 왼쪽에 있을 때에는 체언 왼쪽에 적어, 언제나 서술어를 바라보도록 한다.
- Difaxas u umivùm. 밥을 먹는다.
- Umivùm u difaxas. 밥을 먹는다.
조사 | 격 | 의미 |
---|---|---|
lo | 대격 | -을/를 |
da | 주격 | -이/가 |
as | 주제격 | -은/는 |
u | 어격 | -에, -에서, -으로 |
svo | 처격 | -에서 |
tou | 인용격 | -(이)라고 |
degro | 포함격 | -도, -역시 |
samie | 수반격 | -와/과 |
gie | 여격 | -에게 |
spo | 시발격 | -부터 |
to | 종착격 | -까지 |
é | 속격 | -의, -한, -인 |
roy | 향격, 도구격 | -(으)로 |
조사 축약
as, lo의 경우 모음 뒤에서 -s, -l로 축약되고, lo, da는 모음 앞에서 l'-, d'-로 축약된다.
- Niros Mirálon. 너는 나의 사랑이다.
조사 앞 뒤를 이루는 모음은 다른 모음과 만났을 때 쉽게 축약된다.
- Exitnatané 1 Leséleka t'Opor'oy[12] paradiçòme. 마지막의 1초까지 앞으로 나아가.
문장
어순
어순은 SOV를 우선으로 하되, 간단한 구어체 문장에서는 SVO를 우선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체언은 관사 - 관형사 - 명사의 순서로 쓰고, 서술어는 부사 - 동사 순서로 쓰도록 한다.
문장을 수식받는 명사구의 격 표지
É나 dé를 사용해서는 문장을 수식받는 명사구를 만들 수 있다.
- Miro da krifè Ésie
- 내가 만든 것
- Faxas dé Ziroque da moquìç
- 친구가 가고 있는 장소
이때, 수식받는 명사가 수식하는 문장에서 어떤 문장 성분으로 활용되었는지에 따라 다음과 같은 관계사를 사용할 수 있다.
격조사 | é | dé |
---|---|---|
da | é | dé |
as | sé | dés |
lo | lé | dél |
u | mé | dém |
svo | své | désvo |
roy | ré | déy |
- Miro da krifè Lésie. 내가 만든 것.
- Faxas déy Ziroque da moquìç. 친구가 가고 있는 장소.
기타
날짜
자소크어 날짜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2004 Ärgê 11 Télital (2004년 2월 11일)
'YYYY'년 'MM'월 'DD'일을 자소크어에서 'YYYY ýrge DD TéMMtal'이라고 표현하고, 'MM'은 숫자가 아니라 읽는 법으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4월'에는 자소크어로 '4'를 나타내는 단어인 'fa'를 사용해 'Fatal'이라고 표현한다. 이 표현을 직역하면 'YYYY년 DD번째 MM월'이다.
숫자만으로 표현할 때는 '2004. 11. 2'라고 표현하는데, 하이픈을 사용해 표현할 때에는 '2004-11-02'라고 2글자*2글자의 표기법을 따라야 한다. 연 숫자의 표기 제한은 없기 때문에 397년 2월 11일은 '397-11-02', 13729년 2월 11일은 '13729-11-02'로 표현한다.
월의 제한 없이 'DD'일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DD Tîc[13]'를 사용한다. 'DD번째 날'이라는 뜻이다.
인용의 출처
자소크어에서 인용의 출처를 밝힐 때에는 큰 주제부터 작은 주제로 가며 작성한다.
- 3128. 14. 5., Enifia dé Spikaédimerda «Zasoquspikaépotadimerda déy Latinéaravîta». Hisquin, Touskiétiägfashas
- 자소크력 3128년 5월 14일, 언어표준청 《라틴 문자의 자소크어 표기》. 기타, 인용의 출처
단위
수에 단위를 붙일 때에는 “수 lesé단위” 형태로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간단히 “수 단위”로 읽는 것을 허용한다. 이를테면 “2 kg”을 “Lie Lesékilogram” 또는 “Lie Kilogram”으로 읽는 것이다.
"매 1 A당 n B"는 자소크어로 "A muder n B"로 표현하며, "매 m A당 n B"는 "m A muder n B"로 표현한다. 이를테면, "매년 2x"는 자소크어로 "Ärge muder 2x"로 표현하는 식이다.
제곱미터, 세제곱미터 등을 나타낼 때에는 지수부 2, 지수부 3을 사용하여 metreges, metreül 등으로 표현한다.
와 같이 두 단위를 곱해 얻어진 단위는 Nütn-sekond 혹은 Nüsekond로 붙여 읽거나 합성어 규칙에 따라 읽는다. 이때 metresquared, metrecubed와 같이 외래 단위를 그대로 표현하는 것을 허용한다.
각주
- ↑ 2024년 11월 4일 11시 22분 54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7개 회사 전원
- ↑ 3.0 3.1 세멘티 왕국 설립과 동시에 탈퇴
- ↑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 ↑ 헤멜바르트 제국은 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
- ↑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 ↑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 ↑ 라크렐데사를 위시한 서북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사용
- ↑ Q는 언제나 u와 함께 쓰이며, 재민 표기법에서는 qu를 로 표기한다.
- ↑ 역사적인 수 표기에 의한 읽는 방법. ko와 dos는 같은 뜻으로, 서로 교환할 수 있다.
- ↑ 일반적으로 가수부의 1의 자리수로 사용될 때에는 dos, 가수부의 10 이상의 자릿가 좀 더 자주 활용된다.
- ↑ to Opor roy
- ↑ tia é 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