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렘나 철랑대 | 역사 | 지리 및 행정구역 | 문화 | 종교 | 경제 | 외교 | 종족 | 언어 | 생태와 생물군계 | 마법 | 전쟁 | |
---|---|
이렘나 3차 내전 | 셰헤카사 제도 | 네라다 공민공화국 | |
엘레르디 왕국 |
외각 파랑어파의 세 언어 모두 이렘나어라 칭해진다.[2] | |
사용 국가 | 셰헤카사 네라다 공민공화국 |
---|---|
사용 지역 | 북메디아 동북부 이렘나 반도, 세셸브 반도, 셰헤카사 제도, 실리킬 숲 |
사용 민족 | 이렘나인 셰헤카사인 쿠로유키인 셰헤카사 텐메이인 네라다인 아투제르인 |
언어 인구 | 약 1,900,000명 |
어순 | SVO |
언어 계통 | 파랑제어족 외각파랑어파 키비르쟈어군 (철랑선봉대 방언) 레에헤 파랑제어 강철평원 파랑어 이렘나어 |
초기형태 | 파랑제어 |
언어코드 | PA-RN |
사전 | 이렘나어_사전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이렘나 철랑대 |
표기문자 | 파랑 문자, 바샨니 문자 |
이렘나어의 각 언어별 명칭은 다음과 같다.
언어 | 명칭+ |
---|---|
이렘나어 | i'Leni sk'Iremna |
바샨니어 | Irnikichishiy |
알루테릴 | Leiteril |
세멘티어 | Ellend Elláne |
자소크어 | J'Iremnaéspika |
자텐다어 | Aláne 'Len |
크리상치아어 | la lingue irémnaise, l'irémnaise |
헤이어 | Iremnabuju(국내표준) Iremnabudzu(국제표준) |
화칸어 | Fakaairemna |
한국어 | 이렘나어 |
안드로어 | dlfpaskdj |
메다어 | jdyczhfjt |
개요
이렘나어는 이렘나 철랑대의 공용어이다. 이렘나어는 문자가 소실되었으나[3], 이렘나인들과 바샨니인들이 서로에게 동화된 뒤로는 바샨니 문자를 사용한다. 1000년에 가까운 역사에서 이렘나인들은 바샨니인들과 함께 살아왔기에, 이렘나어와 바샨니어는 많은 어휘를 공유한다. 이렘나어의 어휘중 40%가 바샨니어에서 유래했다.
텐메이 전쟁 이후 자텐다 황금전단, 세멘티 공국과 교류를 통해 이렘나 철랑대는 소실한 문자인 파랑 문자를 다시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렇기에, 다른 파랑제어인 자텐다어나 세멘티어와의 어휘 차가 큰 편이다.
이렘나어는 지역별로 이렘나어, 셰헤카사어[4], 실리킬 레네어[5]로 나눌 수 있다.
이렘나어에서는 격전치사가 존재하며, 대부분의 단어 앞에 붙는다. 다만, 접속사는 격전치사를 붙이지 않으며, 이렘나의 고유명사나 인명은 격전치사를 무시하는 경우도 있다. 이렘나의 고유명사는 대부분 과거의 뜻으로 읽힌 고유명사가 그대로 굳어서 생긴 경우이기 때문이다.
음운
양순 |
순치 |
치경 |
후치경 |
경구개 |
연구개 |
성문 |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
비 |
m ⟨m[6]⟩ |
n ⟨n[6]⟩ |
||||||||||||
파 열 |
p ⟨p[6]⟩ |
b ⟨b[6]⟩ |
t ⟨t/d[7]⟩ |
d ⟨d[6]⟩ |
k ⟨g⟩ |
ɡ ⟨g⟩ |
||||||||
파 찰 |
t͡s ⟨tz⟩ |
k͡x ⟨k⟩ |
||||||||||||
마 찰 |
ɸ ⟨f'⟩ |
f ⟨f⟩ |
v ⟨v[6]⟩ |
s ⟨s[6]⟩ |
z ⟨z⟩ |
ʃ ⟨sh[6]⟩ |
ç ⟨k'⟩ |
ʝ ⟨y⟩ |
x ⟨ch⟩ |
h ⟨h⟩ |
||||
설측 접 근 |
l ⟨l[6]⟩ |
|||||||||||||
탄 |
ɾ ⟨r[6]⟩ |
|
전설 |
근전설 |
중설 |
후설 | ||||
---|---|---|---|---|---|---|---|---|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고 |
i ⟨y⟩ ⟨iy⟩ |
ʉ ⟨u⟩ |
||||||
근 고 |
ɪ ⟨i⟩ |
|||||||
중 고 |
o ⟨o⟩ | |||||||
중 |
e̞ ⟨e[6]⟩ |
|||||||
저 |
a ⟨a[6]⟩ |
알파벳과 독음
다음 표는 이렘나어의 알파벳과 독음이다. 로마자 사용자의 이해가 편하도록 이렘나어의 순서가 아닌 로마자 순서로 배치해놓았다.
알파벳 | 명칭 | 발음기호 |
---|---|---|
A a | Achal | /a/, /aʰ/ |
B b | /bʰ/ | |
Ch ch | /x/ | |
D d | /dʰ/, /t̬/[8] | |
E e | /e̞ʰ/ | |
F f | /f/, /ɸ/[9] | |
G g | /ɡ/, /k/ | |
H h | /h/ | |
I i | /ɪ/ | |
Î î | *[10] | |
K k | /k͡x/, /ç/[11] | |
L l | /l̥/ | |
M m | /m̥/ | |
N n | /n̥/ | |
O o | /o/ | |
P p | /pʰ/ | |
R r | /ɾʰ/ | |
S s | /s⁽ʰ⁾/, /s/[12] | |
Sh Sh | /ʃʰ/ | |
T t | /t̬/ | |
Tz tz | /t͡s/ | |
U u | /ʉ/ | |
V v | /vʰ/ | |
Y y | /ʝ/, /i/[13] | |
Z z | /z/ |
이렘나어의 이중문자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알파벳 | 명칭 | 발음기호 |
---|---|---|
Iy Iy | /i:/, /ej/ |
이렘나어의 î는 주격 및 명사화 전치어로서만 사용되며, 뒤의 단어에 따라 각기 다른 음가를 지닌다. 이것은 이렘나어 î의 음가를 정리한 표이다.
알파벳 | 발음 | 발음기호 |
---|---|---|
î'A | a | /a/, /aʰ/ |
î'B | ib | /ɪb/ |
î'Ch | ech | /e̞ʰx/, |
î'D | ed | /e̞ʰdʰ/ |
î'E | e | /e̞ʰ/ |
î'F | irf | /ɪɾʰf/ |
î'G | ich | /ɪç/ |
î'H | ch | /x/ |
î'I | i | /ɪ/ |
î'K | sach | /s⁽ʰ⁾ax/ |
î'L | il | /ɪlʰ/ |
î'M | m | /mʰ/ |
î'N | n | /nʰ/ |
î'O | u | /u/ |
î'P | ip | /ɪpʰ/ |
î'R | r | /ɾʰ/ |
î'S | sh | /ʃʰ/ |
î'Sh | sh | /ʃʰ/ |
î'T | chet | /xe̞ʰt̬/ |
î'Tz | t | /t/ |
î'U | yuu | /jʉ:/ |
î'V | iv | /vʰ/ |
î'Y | se | /se̞ʰ/ |
î'Z | sh | /ʃʰ/ |
지역 방언과 음운 변동
이렘나 철랑대는 지역별 독자성이 심하여 언어 역시 지역별 격차가 크다.
이렘나어
표준 이렘나어
메르디 방언
메르디의 별자리 중 셀니키히 지방나 하네브 지방같은 중심지역이 아닌 바깥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표준어와의 차이는 크리할니킬 방언보다 크다.
얼음해안 방언
현재는 수몰된 얼음해안 지방의 방언이다. 얼음해안 지방의 난민이 많은 메르디의 별자리 북부에서 쓰인다.
북부 기사단 방언
현재는 수몰된 북부 기사단 지방의 방언이다. 북부 기사단 지방 지방의 난민이 많은 메르디의 별자리 동부에서 쓰인다.
세셸브 방언
세셸브 지방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표준어와 거의 차이가 없다.
크리할니킬 방언
사르자니케브 방언
레에헤 방언
녹슨 산맥 방언
녹슨 산맥 방언은 음운 변동이 타 지역과는 매우 이질적이다.
체나냐(아르세른) 방언
수몰된 체나냐 지방과 즈헤르피니-샤카 지방에서 쓰였던 방언이자, 아르세른 지방에서 현재까지 쓰이는 방언이다.
니크비츠 방언
바샨니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방언이다.
실리킬 레네어
알루테릴의 차용어가 많은 방언이다.
네라다 방언
네라다어의 어휘 일부와 중세 키비르쟈어 어휘를 사용하는 방언이다. 네라다 지방은 산맥으로 격리되어있어, 고대 어휘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다.
네라다어는 이렘나어와 같은 표기를 사용하지만, 발음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사실상 같은 어족의 다른 언어로 봐도 무방하다.[14] 네라다어는 이렘나어의 주요 음운변동이 일어나기 이전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
셰헤카사어
셰헤카사어는 셰헤카사 제도에서 사용되는 이렘나어이다. 외래어 차용 단어가 다수 존재하며, 특히나 크리상치아어와 텐메이어 계통의 단어가 많다. 셰헤카사어의 음운학적 특징으로는 'sv'[15], 'vkr'[16], 'rvs'[17], 'vshtrp'[18]와 같이 모음이 없는 단어가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슈브나 섬, 셰니야 섬은 최근에 개척된 관계로 표준 이렘나어가 쓰인다.[19]
표준 셰헤카사어
레히카센어
레히카센 섬은 셰헤카사 제도 중에서 텐메이교의 영향이 가장 강한 지역으로, 이 지역의 언어는 텐메이어 계통의 어휘가 많다.
자히카페브어
자히카페브 섬은 여타 셰헤카사 제도의 섬들보다 북쪽에 위치해있어 타 언어의 유입이 적었다. 이 지역의 언어는 다른 셰헤카사어와는 달리 외부 어휘가 거의 없는 편이다.
회화
이번 문단에서는 이렘나어의 간단한 회화를 소개한다. 이렘나어에는 원래 비유법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지만, 자소크계 이렘나인들의 유입 이래로 수많은 비유법 및 완곡어법이 탄생했다. 현재의 이렘나어는 과거와는 다르게 비유법과 구문이 매우 많은 편에 속한다.
이렘나어 | 의미 |
---|---|
Reyante h'Vara | 승리가 있기를!(인사) |
l'Assen ha'Kyl | 영광을 가지기를!(작별) |
sh'Ves h'Tina re'Da | 그대의 내일을 가지고 싶다.(영원한 작별) |
Ki | 응.[20] |
î'Sna | 아니. |
f'Kash ha'Tmanyat re'Ka. | 특별히 말하지는 않겠어. |
Ta va'Tal h'Demekazach. | 다 보여. 뻔한 수 쓰지마. |
la'Ellede ha'Tina k'Kyl chshi'Ka | 내일까지 잘 살아있나 보자고.[21] |
Ka sna f'Hasiyn h'Svru re'Firel? | 조심하는게 좋을거야. 안그래?[22] |
fa'Kina h'Kiniy | 그리워.[23] |
fa'Ferchat. sna fcha'Ferchat. | 적당할 줄 알아야지.[24] |
각주
- ↑ 2024년 12월 21일 10시 54분 04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세 언어는 방언 정도의 차이에 불과하다.
- ↑ 정확히는 탈출한 레네인 중 문자를 아는 사람이 없었다.
- ↑ 셰헤카사 제도에서만 쓰는 방언
- ↑ 실리킬 기사단 지역에서만 사용하는 방언, 엘레르디어 차용어가 매우 많다.
- ↑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정확히는 [ʰ] 소리가 덧붙는 유기음이다.
- ↑ 정확히는 [ˀ] 소리가 덧붙는 방출음이다.
- ↑ 어미에서 일부
- ↑ f'로 쓰일때 일부
- ↑ î는 대문자로 쓰이지 않으며, 뒤의 자음에 따라 다른 발음을 가진다. 정확한 내용은 아래의 표를 참조
- ↑ k'로 쓰일때 일부
- ↑ 어미에서만
- ↑ 단독 모음으로 사용될 경우
- ↑ 이 위키에 저장되어있는 네라다어 표기는 구어체를 기준으로 한다.
- ↑ 저녁
- ↑ 이리
- ↑ 해풍
- ↑ 해안 절벽
- ↑ 두 섬은 지리적으로 셰헤카사 제도가 아닌 고립된 섬이며, 너무 추운 기후를 가지고 있어서 사람이 거의 없다.
- ↑ '네 생각은 알겠지만 동의하고 싶지는 않아'라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 ↑ '그대에게 내일의 영광이 있기를!'이라는 뜻이지만, 내일이 되기 전에 죽이겠다는 최후통첩의 뜻이다.
- ↑ '새벽의 안개를 껴안지 않겠니?'라는 뜻이지만, 상대방의 행동에 적대적인 의사표시를 할 때 쓰인다.
- ↑ '안식에 찬사를!'이라는 뜻이지만, 죽거나 떠난 사람을 그리워할 때 쓰인다.
- ↑ '즐겨라, 하지만 스스로 망가져버리지 말아라'이라는 뜻이다. 상대방의 반복적 행동에 회의를 표할 때 쓰인다.